신경과민은
지적 노동의 해악과 같은
결과물이 아니다. 자연의 선물이다.
잠깐 휴식을 취하며 긴장을 풀고 몸에서
기운을 빼라는 가르침으로 여겨야 한다.
과민은 자연이 우리에게 베푼 정신 치료인
셈이다. 긴장된 상상력에서 떠나 몸과
마음을 천천히 회복시킬 때가
되었다는 충고이다.
- 필립 길버트 해머튼 《지적 생활의 즐거움》 중에서.
* 신경과민은
몸에서 보내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느닷없이 화가 치밀거나 짜증이 늘어날 때,
자주 체하거나 두통이 느껴질 때는 나의 영혼이
내게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생각해도 좋습니다.
'잠시 멈춰 힘을 빼라'는 메시지입니다. 내가 지금
과로하는 건 아닌지, 과식하는 건 아닌지,
무언가에 과도하게 집착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라는 신호입니다.
전체 글
-
신경과민일 때는...
08:49:48
-
꽃봉오리 된장국
2025.07.08
-
내가 '나를' 찾는다
2025.07.07
-
신뢰
2025.07.07
- [AI] 커서(Cursor)와 바이브코딩(Vibe Coding) 2025.07.04 1
- 마음마저 가렸네 2025.07.04
신경과민일 때는...
꽃봉오리 된장국
밭에 있는 나물과
꽃봉오리를 따서 데쳤다.
작은 겨자채, 고들빼기, 경수채, 소송채,
다채 꽃봉오리까지. 초록빛이 너무도 곱다.
맛간장에 무쳐 먹었다. 맛이 제각각이다.
남은 것은 다음 날 아침
된장국에 넣었다.
- 긴이로 나쓰오의 《시인의 텃밭》 중에서 -
* 들에 난 풀들은
사실은 거의가 음식 재료입니다.
독성이 있는 버섯이나 들풀들은 조심해야
하지만, 그래서 허준 같은 분들은 생체실험을 통해
유해한 식물들을 가려냈습니다. 꽃송이를 맛간장에
무쳐 먹고, 된장국에 넣어 먹는 것도, 낭만입니다.
'꽃봉오리 된장국' 이름도 아름답습니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과민일 때는... (0) | 2025.07.09 |
---|---|
내가 '나를' 찾는다 (0) | 2025.07.07 |
신뢰 (0) | 2025.07.07 |
마음마저 가렸네 (0) | 2025.07.04 |
주의 깊게 듣기 (0) | 2025.07.03 |
내가 '나를' 찾는다
내가 '나를' 찾는다
눈을 감으면,
문제에 대한 경고나
행복의 징후를 느낄 수 있습니다.
다른 건 실제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미지는 스쳐 지나가는 모든 감각처럼
오고 갑니다. 그러나 '나는'의 열린 공간에서
그런 일시적인 경험은 그저 지나가는
광경일 뿐입니다.
- 디팩초프라의 《디팩초프라의 완전한 명상》 중에서 -
* 눈을 감으면
감각이 더 잘 열립니다.
미세한 소리가 들리고 적은 떨림에도
온몸이 진동하는 것을 느낍니다. 놓쳤던 생각이
떠올랐다가는 사라지고, 사라졌던 생각이 다시
떠올랐다가 사라집니다. '나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입니다. 생각 속에 묻혔던 '나를'
바라보며 내가 누구인지를
비로소 깨닫습니다.
신뢰
신뢰
천천히 쌓이고 빨리 무너진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봉오리 된장국 (0) | 2025.07.08 |
---|---|
내가 '나를' 찾는다 (0) | 2025.07.07 |
마음마저 가렸네 (0) | 2025.07.04 |
주의 깊게 듣기 (0) | 2025.07.03 |
100세 장수 노인의 특징 (0) | 2025.07.02 |
[AI] 커서(Cursor)와 바이브코딩(Vibe Coding)
[AI] 커서(Cursor)와 바이브코딩(Vibe Coding)
**커서(Cursor)**는 AI 기반의 코드 에디터입니다. 챗GPT(ChatGPT) 개발사인 OpenAI의 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개발자가 코드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성, 수정, 디버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주요 기능:
- AI 채팅: 에디터 내에서 AI와 대화하며 코드 생성, 수정,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코드 자동 생성 및 수정: 간단한 명령(프롬프트)으로 원하는 기능의 코드를 만들거나 기존 코드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AI 기반 디버깅: 코드의 버그나 오류를 AI가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 문서 참조: 외부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의 문서를 AI가 참조하여 정확한 코드를 작성해 줍니다.
**바이브코딩(Vibe Coding)**은 정해진 문법이나 규칙에 얽매이기보다, 개발자의 '느낌'이나 '감'에 의존하여 직관적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스타일을 의미하는 신조어입니다.
이는 종종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빠른 프로토타이핑: 완벽한 코드보다는 빠른 결과물 확인이 중요할 때, 세부적인 사항을 생략하고 핵심 로직만 빠르게 구현하는 방식입니다.
- 경험 기반 코딩: 숙련된 개발자가 자신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렇게 하면 될 것 같다"는 직관을 따라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입니다.
커서(Cursor)와 같은 AI 코드 에디터의 등장은 이러한 '바이브코딩'을 더욱 현실적이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줍니다. 개발자가 가진 추상적인 아이디어나 '감'을 AI에게 설명하면, AI가 그것을 실제 작동하는 코드로 구체화해 주기 때문입니다. 즉, 개발자의 직관과 AI의 기술력이 결합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AI 코드 에디터 **커서(Cursor)**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아래 경로를 통해 접속하여 사용하시는 운영체제(OS)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하세요.
🔗 커서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 https://www.cursor.com/download
페이지에 접속하면 Windows, macOS, Linux 등 사용 환경에 맞는 설치 파일을 바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Downloads | Cursor - The AI Code Editor
Download Cursor for Windows, macOS, and Linux. Get the AI-powered code editor that makes you extraordinarily productive.
cursor.com
'프로그래밍 > AI_Deep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에인전틱(AgenticAI)와 생성형 AI(Generative AI) (0) | 2025.05.19 |
---|---|
AI 시대의 기술 위축을 피하는 방법 (0) | 2025.05.07 |
‘수학방정식’으로 AI를 속이다··· 생성형 AI 무력화하는 新 공격 기법 ‘매쓰프롬프트’란? MathPrompt (2) | 2024.09.26 |
"2024년 국내 생성형 AI 스마트폰 시장, 빠르게 성장 중" 한국IDC (1) | 2024.09.26 |
프로그래밍에서 AI가 대체하지 못하는 것들 (0) | 2024.09.14 |
마음마저 가렸네
가려진 코와 입이
이제는 자연스레
익숙한 반쪽 얼굴
벗기도 어색하네
얼굴만
가리라 했지
마음마저 가렸네
- 최성자의 시조집 《수렴의 시간》에 실린
시조〈마스크〉중에서 -
* 코로나로 한동안 쓰던 마스크가
우리 삶의 많은 것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처음에는 답답하다가 차츰 익숙해지면서
얼굴만 가리는 것이 아니라 마음까지
가리고 말았습니다. 마스크는 얻은
것보다 잃은 것이 많습니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나를' 찾는다 (0) | 2025.07.07 |
---|---|
신뢰 (0) | 2025.07.07 |
주의 깊게 듣기 (0) | 2025.07.03 |
100세 장수 노인의 특징 (0) | 2025.07.02 |
사랑에 빠진 사람은 (0)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