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피곤하면 날카로워진다는 사실은 쉽게 이해하면서 어른도 마찬가지라는 사실은 왜 잘 이해하지 못하는 걸까? 나는 인내심 부족의 상당 부분은 쉬지 않는 데서 비롯된다고 확신한다. 이메일, 음성 메일, 문자, 전화. 결코 쉴 틈이 없다.
- M.J 라이언의 《인내가 주는 힘》 중에서 -
* 진정한 쉼은 머릿속의 사고도 쉬게 하는 것입니다. 보지 않고, 듣지 않고, 움직이지 않아도 머릿속에서는 계속해서 상념들이 떠돕니다. 그 상념조차 잠시 멈추게 하는 것이 진정한 쉼입니다. 들이쉬는 숨과 내쉬는 숨에 집중하면서 내 몸과 마음에 쉴 틈을 허락하십시오. 지쳤던 몸에 다시 에너지가 차오릅니다.
나라가 망했으니 누구누구 할 것 없이 한국인은 다 망국의 죄가 있소. 나도 한국인이므로 내가 곧 망국한 죄인입니다. 그러나 어제 나라를 망하게 한 자는 곧 오늘 나라를 회복할 자입니다. 이제 여러 방면으로 보건대 현재의 활동과 장래를 가꾸어나감에 있어 무궁한 희망이 있다는 것이 내가 전하고자 하는 기쁜 소식입니다. (안창호 어록)
- 김구 외의《우리는 나라를 회복할 것입니다》중에서 -
* 누구나 자신의 판단을 옳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삶을 돌아보면 얼마나 오류가 많았는지 알게 됩니다. 역사와 국가의 존망도 마찬가지입니다. 철석같이 믿었던 것들이 망국으로 이어질 수도 있음을 알아야 다시 희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근본의 마음입니다. 안창호 같은 분의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은 언제 들어도 무궁한 희망을 주는 기쁜 소식입니다.
아침 6시 서울 출발. 6시 30분정도 해가 뜨기 시작. 추석 연휴 전 주말이라 그나마 소통이 원할하다. 양양에 9시 정도에 도착해서 전통시장 송미 칼국수가서 능이칼국수, 장칼국수, 감자전 하나 아침으로 먹음. 시장에서 꽈배기 사고, 남대천 강가 산책. 속초 쏘라노로 출발. 27일 체크인이라. 26일에 미지 전화해서 쿠폰을 알림톡으로 받음. 쏘라노에서 유수풀 쓩쓩 놀다가, 파도 한번, 올라가서 타는 슬라이드 한번 타고. 사우나에서 시원하게 목욕.
2시 30분에 나와서 바로 대청마루 가서 비빔밥, 모두부, 감자전 하나 점심으로 먹고. 숙소는 모바일 체크인. 로비에 있는 스타벅스에서 커피 한잔 테이크 아웃.
앞서간 사람들의 생각을 알고 그들의 생각과 내 생각을 서로 맞추어보는 과정을 통해 생각이 단단해져 소신을 갖출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포함해 많은 책을 읽게 되었다.
- 문형배의 《호의에 대하여》 중에서 -
* 저자는 2,000권 정도의 독서를 했다 합니다. 고전을 포함해 많은 책들을 읽으면서 사고의 지평을 넓히고 인간의 깊은 내면을 읽을 수 있는 혜안을 갖게 된 게 분명합니다. 법조문을 넘어 수 많은 고전 속에서 행간을 읽으며 솔로몬과 같은 명 판결의 길을 추구했을 것입니다.
5W1H는 AI에게 명확한 컨텍스트와 목표를 제공하여 원하는 결과를 정확하게 얻기 위한 훌륭한 프레임워크입니다.
5W1H는 누가(Who), 무엇을(What), 언제(When), 어디서(Where), 왜(Why), 어떻게(How) 요소를 채워 프롬프트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모델에게 제공하는 정보와 맥락을 명확히 하여, AI가 보다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5W1H를 활용한 프롬프트 설계 방법 📝
5W1H(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왜, 어떻게) 각 요소에 맞춰 AI에게 정보를 제공하면, AI는 사용자의 의도를 훨씬 더 잘 파악하고 정확한 결과물을 생성합니다.
1. Who (누가) - 역할 지정
AI에게 특정 전문가의 **역할(Persona)**을 부여하여 답변의 관점과 깊이를 정합니다.
Before: 쿼리 만들어줘
After: 너는 20년차 MSSQL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야.
2. What (무엇을) - 작업 정의
수행해야 할 **핵심 작업(Task)**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지시합니다.
Before: 직원 데이터 좀 줘
After:2024년도에 입사한 서울 지역 근무자들의 이름, 부서, 입사일을 조회하는 쿼리를 만들어줘.
3. When (언제) - 시점 명시
데이터의 시간적 범위를 지정하여 원하는 기간의 정보만 필터링하도록 합니다.
Before: 판매 실적 알려줘
After:2025년 3분기(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일일 판매 총액을 알려줘.
4. Where (어디서) - 환경/출처 지정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환경이나 데이터의 출처(Source)**를 알려줍니다.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명시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Before: 직원 테이블에서 찾아봐
After:SalesDB 데이터베이스의 Employees 테이블과 Departments 테이블을 사용해서 찾아봐.
5. Why (왜) - 목적 설명
이 작업을 수행하는 **궁극적인 목적(Purpose)**을 설명하여 AI가 더 나은 해결책을 제안하도록 유도합니다.
Before: 오래된 주문 찾아줘
After:장기 미사용 고객에게 마케팅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최근 1년 동안 구매 기록이 없는 고객 목록을 추출하고 싶어.
6. How (어떻게) - 형식/조건 지정
결과물의 형식(Format)이나 스타일, 따라야 할 특정 조건을 구체적으로 요구합니다.
Before: 쿼리 짜줘
After:CTE(Common Table Expression)를 사용해서 쿼리를 작성해 주고, 각 코드 줄마다 한국어로 주석을 상세하게 달아줘. 결과는 Markdown 테이블 형식으로 보여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