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배우고, 일하고, 운동하며
하루를 보내고 나면 잠자리에 들 무렵에는
피로가 몰려올 것이다. 하루를 알차게 보냈다는
증거다. 그 기분 좋은 피로감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신호이기 때문이다.
당장 큰 진전이 보이지 않는다고 좌절하지 말고
잠자리에 들 때 어떤 기분이 드는지
점검해 보라.


- 다리우스 포루의 《세네카의 오늘 수업》 중에서 -


* 피로감도 여러 형태가 있습니다.
지쳐 쓰러지게 만드는 피로감이 있는가 하면
기분 좋은 피로감으로 밥맛도 좋고, 꿀잠을 자게
만드는 피로감도 있습니다. 하루를 열심히 살아내고
밤에 잠이 쏟아지는 피로감은 달콤하기까지 합니다.
간밤에 달콤한 잠을 자지 못했다면 그날 하루를
다시 돌아보아야 합니다. 더 배우고, 더 일하고,
더 운동하며 알차게 살아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대한 작가들의 운동법  (0) 2025.05.02
비 내리는 밤  (0) 2025.05.02
바로 알아차릴 수 있는가  (0) 2025.04.29
진정한 나의 사람  (0) 2025.04.28
위기  (0) 2025.04.28
반응형

현실에서
좋은 일이 생기더라도 관심을 두고
살펴보지 않으면 알아차리지 못할 수도 있다.
실제로는 수많은 좋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더라도
말이다. 그리고 자신이 깨닫지 못한 좋은 일은
그것이 실제로 일어난 일이라 하더라도
잠재의식에 저장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좋은 일이
생기면 바로 알아차릴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 구와나 마사노리의《긍정뇌로 리프로그래밍》중에서 -


* 일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그것을 알아차렸을 때 진정한 의미로 다가옵니다.
그렇지 않으면 일은 일어났으나 그냥 지나가는
일이 되고 맙니다. 알아차렸을 때에야 비로소
의미가 되고 그것은 잠재의식에 각인이
됩니다. 늘 깨어있는 사람만
잘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 내리는 밤  (0) 2025.05.02
기분 좋은 피로감  (0) 2025.04.30
진정한 나의 사람  (0) 2025.04.28
위기  (0) 2025.04.28
기초부터 다시  (0) 2025.04.25
반응형

나랑 더 잘 맞는 사람을
찾아 떠난다는 건 꽤나 어리석은 일로도
느껴진다. 물론 세상 어딘가에는 나랑 무척
잘 어울리는 근사한 사람을 별똥별 떨어지듯
우연히 만날 수도 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건
나와 맞는 부분이 있다고 믿었던 사람들과의
인연을 잘 이어가는 것이다. 새로운 사람
100명 만날 시간에 기존의 인연 10명을
10번 만나면 관계의, 삶의 다른 깊이를
점점 더 잘 알 수 있다.


- 정지우의 《사람을 남기는 사람》 중에서 -


* 만 사람보다 한 사람이 중요합니다.
한 사람을 깊이 사랑하면 그 안에 담긴 모든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미움, 아픔, 참음, 기다림, 그 모든
감정이 교차되는 과정에서 인격도 깊어지게 됩니다.
사람은 자신을 믿어주고 인정해 주는 사람에게
자신의 운명을 겁니다. 심지어는 그를 위해
자신의 존재도 바칩니다. 진정한 나의
사람이라 믿을 때 가능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분 좋은 피로감  (0) 2025.04.30
바로 알아차릴 수 있는가  (0) 2025.04.29
위기  (0) 2025.04.28
기초부터 다시  (0) 2025.04.25
언제 좋은 문장이 나올까  (0) 2025.04.24
반응형

위기

 

바꾸면 기회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로 알아차릴 수 있는가  (0) 2025.04.29
진정한 나의 사람  (0) 2025.04.28
기초부터 다시  (0) 2025.04.25
언제 좋은 문장이 나올까  (0) 2025.04.24
'책이 재미있다'는 경험  (0) 2025.04.23
반응형

울트라러너들에게서
반복적으로 목격된 한 가지 전략이 있다.
그들은 전혀 알지 못하던 기술에서 시작했다.
그러면 필연적으로 작업이 형편없이 이뤄진다.
그때 그들은 특정 단계로 되돌아가서 기초적인
내용 하나를 배우고, 연습하기를 반복했다.
이런 연습은 시작이 무척 힘들고 필요한
선행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좌절을
겪을 수 있지만, 실제로 성과를
높이지 못하는 기술들은
배제할 수 있다.


- 스콧 영의 《울트라 러닝》 중에서 -


* 가끔 아이들이 묻습니다.
"이거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
그때마다 대답은 언제나 똑같습니다.
"잘할 수 있을 때까지!"
처음부터 능숙한 사람은 없습니다.
걸음마도, 일도, 운전도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실력이 늡니다. 기초부터 차근차근 반복하고
또 반복하는 길밖에 없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정한 나의 사람  (0) 2025.04.28
위기  (0) 2025.04.28
언제 좋은 문장이 나올까  (0) 2025.04.24
'책이 재미있다'는 경험  (0) 2025.04.23
내가 스스로 찾아낸 자극  (0) 2025.04.22
반응형

어떨 때 좋은 문장이 나올까요?
첫째, 완벽한 취재가 끝났을 때이지요.
대상을 향한 취재가 완전히 끝난 뒤 엄청난
언어의 마그마가 무의식 깊은 곳에서 끓기 시작해요.
정말 활화산에서 마그마가 끓어오르는 것처럼
하고 싶은 말이 미친 듯이 분출하지요. 이때
메모를 반드시 써두어야 해요. 이때 쓴
문장은 완벽하지 않지만 생생하게
살아 있거든요.


- 정여울의 《끝까지 쓰는 용기》 중에서 -


* 안에서 분출되어 나온 글은
생명력이 있습니다. 펄펄 살아있습니다.
열심히 공부한 수험생이 답안지를 놓고 자신 있게
써나가듯, 완벽한 조사와 취재 끝에 펜을 잡은
작가의 손은 훨훨 납니다. 반면에 취재 없이
머리를 쥐어짜며 억지로 어찌어찌 쓴 글은,
글은 글이되 맛이 없습니다. 덜 익은 채
떨어진 파과(破果)와 같습니다.


破果 흠집이 난 과실, 즉 썩거나 손상된 과일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기  (0) 2025.04.28
기초부터 다시  (0) 2025.04.25
'책이 재미있다'는 경험  (0) 2025.04.23
내가 스스로 찾아낸 자극  (0) 2025.04.22
엄마들은 다 초보다  (0) 2025.04.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