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삶이 나에게 

그저 존재하기를 바라는 대로 

내 자신을 맡길 때 나는 가장 강한 존재가 된다. 

삶에 '맞서' 저항할 때가 아니라 삶과 '함께'

나아갈 때 가장 강한 존재인 것이다. 



- 아니타 무르자니의《그리고 모든 것이 변했다》중에서 - 



* 삶에서 

가장 강한 때는 

가장 약한 때와 서로 통합니다.

가장 약해진 때를 180도 전환하면 

바로 그때가 자기 인생에서 가장 강한 시간이

되는 것입니다. 당신도 지금 당신의 삶에서

가장 강한 시간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일이 잘 안 풀릴 때를 즐겨라.
처음엔 당황스럽지만,
훗날 큰 성공으로 이어지는 기발한 아이디어는
그런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나온다.
- 캐슬린 핀치

 

위대함은 순탄함 속에서 잉태되지 않습니다.
연금술사로 유명한 파울로 코엘료는 말합니다.
“삶은 언제나 우리에게 힘든 위기를 겪게 하고 나서야
그 자신의 가장 빛나는 모습을 드러낸다”

 

 

.

반응형
반응형

성숙의 가장 중요한 표식은
역지사지의 능력이라 할 수 있다.
반대자의 입장에 서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정신적 여유와 상상력, 다른 사람과 같이 느껴보는  
감정이입의 능력이고, 나아가서는 사적인 감정과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입장에 서서 자신을 돌이켜볼 수 있는
능력이다.


- 손봉호의《잠깐 쉬었다가》중에서 -


* 너무나 바쁘게 돌아가는
일상의 삶 속에서 참으로 아쉬운 것이 있습니다.
좋은 관계 맺기가 점점 어렵다고 느껴지는 것입니다.
'100세 시대'를 맞아 건강을 위해 시간과 돈까지 투자하며
운동을 하듯 마음에도 운동이 필요합니다. 점점 삭막해져가는
현대의 삶 속에서 그래도 좋은 관계, 좋은 만남을 위해서는
'역지사지'할 수 있는 마음의 운동이 꼭 필요합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례자인가, 나그네인가  (0) 2017.01.02
감사  (0) 2017.01.02
연말연시 풍경  (0) 2016.12.30
작은 차이  (0) 2016.12.29
'감각을 살려라'  (0) 2016.12.28
반응형

목표란 다른 사람보다 더 나아지는 게 아니라
다른 누구도 아닌 ‘어제의 너’보다 나아지는 걸
목표로 삼아라.
- 존 고든, ‘에너지 버스’에서

 

다른 사람보다 더 나은지 걱정하는 대신,
어제 보다 나은 오늘,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살아야 합니다.
조금씩, 그러나 끝없는 노력을 통해
내가 될 수 있는 최고의 사람이 되는 것, 즉
나의 잠재력을 극대로 실현하는 삶이
진정 가치 있는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매너리즘에 빠졌을 때 우리는
내면으로 더 깊이 들어갈 필요가 있다.
그래서 자기 삶을 움직이는 힘을 재발견하고,
굳어버린 뇌를 깨우는 적극적인 행동을 해야 한다.
아무런 불편이나 노력 없이 주어지는 편한 자극이 아니라
적절한 노력과 스트레스를 동반한 건강한 자극이 필요하다.
외부 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경험은 우리의 뇌를 깨우고
삶에 새로움을 불어 넣는다. 그런 의미에서 여행은
매너리즘에 대한 좋은 처방이다.


- 문요한의《여행하는 인간》중에서 -


* 늘 가던 학교, 회사, 집...
익숙해서 편안하지만 가끔은 벗어날 필요가 있습니다.
울타리를 뛰어넘어 새로운 세상으로 과감하게 자기를
던져놓는 일! 바로 여행을 통해 우리는 배우고
성장합니다. 낯선 곳에서 발견하는 새로운 나!
그 설레임이 같은 시간을 다르게 살게 하는
내 안의 불꽃같은 에너지를 깨웁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아이가 노는 모습  (0) 2016.12.27
얼굴을 씻고, 이를 닦고...  (0) 2016.12.26
더 나은 것을 향해  (0) 2016.12.23
그냥 보여줘라  (0) 2016.12.22
내가 아팠던 이유  (0) 2016.12.21
반응형

위협을 느낀다는 것은 중요하다.
위협이 없으면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어느 의미에서 위협은 삶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위협 속에서 용수철 같은 힘도 솟는 것이다.
- 자크 아탈리

 

유약한 삶을 흔히 ‘온실 속의 화초’에 비유합니다.


편안함과 안전을 추구하는 것은 결국
온실 속의 화초가 되고 싶다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온실 속의 화초가 아닌 멋진 인생을 꿈꾸는 이에겐,
위기, 위협, 역경, 고통은 피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찾아나서야 할 대상입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