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로커보어(Locavore)’란 ‘자신이 사는 주변 지역에서 난 먹을거리를 섭취하고자 애쓰는 사람’을 뜻하는 신조어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신입사원 시절 99번을 찾아가도 거절하던 곳이
100번째 가니까 사준 경험이 있다.
99번 찾아가서 포기했다면 그 99번은 모두 버리는 것이다.
증기기관차가 움직이는 것도 마찬가지다.
섭씨 99도에서 100도를 넘어서야 움직인다.
목표를 세우고 끈기를 갖고 끝까지 하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다.
-장평순 교원그룹 회장

99와 100의 차이는 단순히 1의 차이가 아닙니다.
가능과 불가능, 존재와 부존재를 가르는 결정적 차이입니다.
성공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그만두는 것이 실패입니다.
위대한 성공의 돌파구는
포기하려는 단계를 넘어설 때 비로소 우리를 찾아옵니다.

반응형
반응형
믿음이 부족하기 때문에 도전하길 두려워하는 바, 나는 스스로를 믿는다.
 - 무하마드 알리


반응형
반응형
총명하고 생각이 밝더라도 어리석음으로 자기를 지키고,
공이 천하를 덮을만하더라도 겸양으로 자기를 지키고,
용맹이 세상에 떨칠지라도 겁냄으로써 자기를 지키고,
온 세상을 차지할 정도로 부유하더라도
겸손으로써 자기를 지켜야 한다.
-공자(‘출근길에 읽는 한 토막 명심보감’에서 재인용)

서경(書經)에 ‘만초손(滿招損) 겸수익(謙受益)’,
즉 ‘가득 차면 손해를 부르고,
겸손하면 이익을 얻는다.’는 대목이 나옵니다.
사람들은 오만한 사람보다 늘 겸손한 사람을 존경하고 따릅니다.
평범한 진리인데, 실천하는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불가능이란,
노력하지 않은 자의 변명에 불과하다.
(나의 성공은) 1퍼센트의 가능성이라도 보이면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근성 때문이었다. 남들이
1~2번 하다 말고 포기하는 일을 6~7번 시도하고,
남들이 한 달 하고 포기한 것을 6~8개월 시도하니,
그만큼 성공확률이 높은 것이다.

- 김성오의《육일약국 갑시다》중에서 -


* 성공한 사람들의
한결같은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
한 번 시작하면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넘어지면 다시 일어서고, 또 넘어지면 또 다시 일어납니다.
'불가능은 없다.'  만고의 진리와도 같은 말입니다.
그러나 한 두 번 겨우 해보고 마는 사람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말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은 일하기 위해서 이 세상에 태어났다.
모든 사람은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할 때 가장 빛난다.
그러나 일만 알고 휴식을 모르는 사람은
브레이크가 없는 자동차와 같이 위험하기 짝이 없다.
-헨리 포드


마크 트웨인은 ‘성공의 비결은
당신의 직업(vocation)을 휴가(vacation)로 만드는데 있다’고 말했습니다.
휴가를 보내는 것처럼 즐겁게 일하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다는 메시지입니다.
한편 링컨 대통령은 ‘내게 나무를 벨 시간이 8시간 주어진다면,
그 중 6시간은 도끼를 가는데 쓰겠다’고 말했습니다.
휴식과 재충전, 준비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메시지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