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python] Merry christmas Tree

import numpy as np
x = np.arange(7,16);
y = np.arange(1,18,2);
z = np.column_stack((x[:: -1],y))
for i,j in z:
    print(' '*i+'*'*j)
for r in range(3):
    print(' '*13, ' || ')
print(' '*12, end = '\======/')    
print('')

               *
              ***
             *****
            *******
           *********
          ***********
         *************
        ***************
       *****************
               ||
               ||
               ||
         \======/

 

반응형
반응형

밤중에 치통이 왔을 때다.
야밤에 치통이 오면 무슨 방법인들
마다하겠는가. "이 고통은 고통이 아니다.
이 세상이 허상 인고로 고통도 허상이다. 난
고통 밖에 나와 있다." 이런 말도 안 되는 말로
최면을 걸었다. 치통에는 하느님도 항복한다는
말이 있던가? 없으면 만들 일이다. 하느님도
밤중에 치통이 오면 응급실에 가서
강력 진통제를 맞아야 정답이다.


- 이명선의 《찌질이 아줌마가 보내는 편지》 중에서 -


* 야밤에 찾아온 치통은
경험한 사람만이 그 지독함을 압니다.
하느님도 항복할 정도라는 말을 실감합니다.
세상의 모든 고통은 다 힘듭니다. 흔히 대상포진도
산고의 고통에 비교하고, 결석의 고통도 마찬가지입니다.
도리 없이 진통제에 의존해야 하지만, 고통을 이기는
명상도 있습니다. 통증은 물론 트라우마도
치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경을 이긴다  (0) 2024.12.26
천국에 대한 생각  (0) 2024.12.26
느린 산책  (0) 2024.12.23
은하수  (0) 2024.12.23
은하수가 보인다  (0) 2024.12.20
반응형

[chatGPT] 밤바다 그림

 

반응형
반응형

느린 산책은
세상을 새로운 방식으로 읽을 수 있게 해주며
과열된 세상에서 결핍된, 시간이라는 선물을
선사한다. 타인이 내게 내어주는 시간은
언제나 소중한 선물이다. 지금은 나미브
사막의 폭풍우처럼 희소해졌지만
누군가에게 한 시간 혹은 하루
동안 온전히 집중하는 것은
매우 가치 있는 일이다.


- 토마스 힐란드 에릭센의 《인생의 의미》 중에서 -


* 느린 산책은
발걸음만 느리게 걷는 것이 아닙니다.
몸도, 뇌도, 마음도 느리게 하는 것입니다.
생각에 쫓기면 나도 모르게 발걸음이 빨라지고
숨이 가빠집니다. 천천히, 고요히, 깊이 숨쉬며
발과 땅이 만나는 것을 지켜보는 느린 산책은
나를 만나는 시간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국에 대한 생각  (0) 2024.12.26
야밤 치통  (0) 2024.12.24
은하수  (0) 2024.12.23
은하수가 보인다  (0) 2024.12.20
'진짜 어른'이 되려면  (0) 2024.12.19
반응형

은하수

 

깜깜해야 보인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밤 치통  (0) 2024.12.24
느린 산책  (0) 2024.12.23
은하수가 보인다  (0) 2024.12.20
'진짜 어른'이 되려면  (0) 2024.12.19
종이책의 향기  (1) 2024.12.18
반응형

 

 

python pair plot 

 

데이터 세트의 숫자 변수 간의 쌍 관계를 보여주는 산점도 그리드입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분포와 변수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import seaborn as sns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pandas as pd

import sklearn
print(sklearn.__version__)

# Sample dataset (Iris dataset)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iris


iris = load_iris()
df = pd.DataFrame(iris.data, columns=iris.feature_names)
df['species'] = [iris.target_names[i] for i in iris.target]

# Create a pair plot
sns.set(style="ticks")
pairplot = sns.pairplot(df, hue="species", diag_kind="kde")

# Save the pair plot as an image
output_file = "pair_plot.png"
pairplot.savefig(output_file)
print(f"Pair plot saved as {output_file}")

# Show the pair plot
plt.show()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