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분야의 책
100권을 읽으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고 한다. 한 권의
책을 쓰기 위해서는 100권의 책을 읽으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목적이 있는 독서는 전문가
수준의 지식과 통찰을 얻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
이런 변화를 경험하면서 삶의 질이
높아지고 인생의 방향도 바뀐다.
- 김을호의 《결국 독서력이다》 중에서 -
* 한 사람이 경험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은 한계가 있습니다.
그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길은 책 속에 있습니다.
앞서 간 선지식들이 펼쳐놓은 세계 속으로 들어가
흠뻑 젖어 들면 그때에 비로소 비밀의 정원이
그 자태를 드러냅니다. 100권은 상징적인
숫자입니다. 일생에 1,000권, 10,000권을
읽는 목표 그 자체만으로도 인생의
방향이 바뀝니다.
반응형
자태
- 책 100권을 읽으면 2024.09.11 2
- 가볍고 무른 오동나무 2020.09.01
- 첫걸음 하나에 2019.06.12
책 100권을 읽으면
2024. 9. 11. 08:34
반응형
반응형
가볍고 무른 오동나무
2020. 9. 1. 10:09
반응형
거듭 이야기하지만
무거우면 좋은 나무이고 가벼우면
나쁜 나무인 것이 아니다. 가볍고 물러서
싼 것도 아니다. 무른 오동나무는 악기의 울림통을
만들기에 적절하고, 장을 짤 때 서랍 재료로도 요긴하다.
서랍은 힘을 받지 않는 부분이어서 오동나무를 썼다.
약한 나무가 반드시 필요한 곳이 있다. 서랍에
소나무를 쓰면 뒤틀려 수월하게 여닫지 못할
것이고, 단단한 참나무는 겨울철
온돌방에서 갈라진다.
- 김민식의《나무의 시간》중에서 -
* 옹달샘에도 카페 옆에
오동나무 한 그루가 멋들어지게 서 있습니다.
해마다 몰라보게 쑥쑥 자라 어느덧 거목의 자태를
보입니다. 빨리 자라는 만큼 가볍고 무릅니다.
바로 그 오동나무가 고급 장롱의 목재로
쓰입니다. 도중에 뒤틀리거나 갈라지지
않고 오래갑니다. 빨리 자라고
오래가니 그보다 더 좋은
나무가 없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라운 기하급수적 변화 (0) | 2020.09.03 |
---|---|
사는 게 힘들죠? (0) | 2020.09.02 |
오래 볼수록 더 반짝이는 별 (0) | 2020.08.31 |
지금 이 순간을 미워하면서도 (0) | 2020.08.30 |
꼭 필요한 세 가지 용기 (0) | 2020.08.28 |
첫걸음 하나에
2019. 6. 12. 09:50
반응형
길을 걷다 보면
한 걸음 이전과 한 걸음 이후가
'변화' 그 자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한 걸음 사이에 이미 이전의 것은 지나가고
새로운 것이 다가온다. 같은 풀, 같은 꽃,
같은 돌멩이, 같은 나무라도 한 걸음
사이에 이미 그 자태가 변해 있다.
- 서영은의《노란 화살표 방향으로 걸었다》중에서 -
* 한 걸음에 인생이 바뀝니다.
처음에는 별것 아닌 것처럼 보여도
작은 걸음 하나가 방향을 바꾸어 놓습니다.
그래서 맨 앞에 선 사람의 발걸음이 중요합니다.
그 한 사람이 첫 한 걸음 잘못 디디면
많은 사람들이 아무 영문도 모른 채
엉뚱한 곳으로 가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