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쿠다 히데오
https://namu.wiki/w/%EC%98%A4%EC%BF%A0%EB%8B%A4%20%ED%9E%88%EB%8D%B0%EC%98%A4
오쿠다 히데오
일본 의 소설가 . 생애 1959년 일본 기후현 기후시 에서 태어났다. 기획자, 잡지 편집자, 카피라이터,
namu.wiki
쉽고 간결한 문체로 인간을 유머러스하게, 때로는 잔혹할 만큼 리얼하게 그려내며, 작품마다 독특하고 매력적인 인물을 등장시켜 독자들을 매료시킨다. 주로 일본사회의 부조리나 모순을 배경삼아 이야기를 전개시킨다.
단편으로는 공중그네를 비롯한 이라부 시리즈가 유명하다. 단편은 각 단편집에 제목에 어울리는 남녀 회사원(마돈나, 걸)이나 주인공이 황당한 곤란에 처하게 되는 상황(이라부 시리즈)으로 유명하다.
보통 3명 이상의 주인공이라 할만한 인물을 등장시켜 각각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진행시키고, 어느 순간 접점을 만들어서 서로 꼬이게 만드는 전개 방식이 일품이다. <최악>, <한밤중의 행진>, <올림픽의 몸값>, <꿈의 도시>, <방해자> 등 초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장편이 이에 속한다. 단편은 별로 스토리를 꼬지 않고, 주인공 한 명의 당황스러운 상황과 유머에 초점을 맞추는 편.
독특한 스타일과 소재로 일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상당한 인기가 있는 작가이며, 버스나 지하철에서 읽을 때 웃음을 참느라 낄낄거리는 자신을 자주 발견할수 있는 작가이기도 하다. 이런 유머는 특히 단편과 단편의 리듬감과 유머를 유지하는 활극형식의 길지 않은 장편에서 발견할 수 있다.( <남쪽으로 튀어>, <한밤중의 행진>)
그러나 두꺼운 장편의 경우는 심각한 상황으로 가는 경우도 많다.(<최악>, <방해자>, <꿈의 도시>, <올림픽의 몸값>)
책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사전조사가 상당히 철저한 편이다. <최악>, <꿈의 도시>에서는 주로 도시의 하층민 혹은 저소득층들이 다수 등장하는데, 구체적인 상황이나 소득에 대한 설명이 상당히 자세하다. 하청공장이 볼트 하나 조립할 때 몇 엔 받는 것이나, 마트의 비정규직 사원의 월급을 세세히 적어놓을 정도.
자신은 플롯을 미리 잡지 않고 주인공들을 생각해놓고 마음대로 날뛰게 한다고 말한적이 있다.
플롯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완성된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이용해 반자동 상태로 스토리를 이끌다보니 등장인물의 역할이나 선악 배분이 미리 정해진 플롯에 의해 억지로 좌우되지 않고 각기 중층적인 인물 상의 미묘한 밸런스를 유지하는게 일품인데다 소설로서의 흡인력도 상당하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마무리가 허술해진다는건데 '어 설마 이게 끝?' 스타일의 강제 연재 종료 식의 엔딩이 많은 편이다. 경우에 따라 이야기의 리얼리티와 핍진성을 더해주기도 하지만, 역으로 '현실을 반영하되 현실에선 쉽게 하기 힘든 경험을 묘사하는 것' 이 대부분의 창작물이 갖는 재미 요소임을 생각하면 단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은 편.
특이한 이력과 관점을 가진 사람인데, 자신의 이야기를 각색하고 당대 일본의 사회문화적 흐름을 세세히 묘사하고 있는 <스무살 도쿄>를 보면 이러한 점이 잘 드러난다.[1]
장편 단편을 가리지 않고 플롯 상의 공통점을 지적하면, 웃기든 심각하든 주인공들이 점차 미묘한 곤경에 처하게 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소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 해소방식에 따라서 웃길 수도 있고, 심각할 수도 있고, 답이 없어지며 나락에 빠지기도 한다.
작품 속에 야쿠자가 나올 때가 많다. 등장인물이 야쿠자로 나오는 경우[2]도 있고, 야쿠자가 소설에 등장하는 경우는 세기 힘들 정도로 많다. 대표적으로는 꿈의 도시, 최악, 한밤중에 행진 등.
'생활의 발견 > 中國語, 日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 やはり, やっぱり(야하리, 얏파리), さすが(사스가) (0) | 2025.01.16 |
---|---|
[중국어] 기본 인사, 물건 살 때 (0) | 2024.12.02 |
[중국어] 실례합니다. 부하오이스 不好意思:bù hǎo yì sī (0) | 2024.12.02 |
<일본의 슈퍼마켓들> (0) | 2024.08.13 |
"타다이마", "오카에리", “잇테키마스” <스즈메의 문단속> 일본어 공부 (0) |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