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삶이 지루하거나
고통스러워 '한 알만 꿀꺽 삼키면'
지루함이나 고통을 잊을 수 있는 '아스피린'이
간절할 때가 있다. 하지만 반복해서 복용하면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음은 물론 부작용까지 초래할 수도
있다. 아스피린 대신에, 시간이 걸리는 사랑을 하고,
별다른 효용이 없는 일에서 즐거움을 찾는 것이
중독에 빠지지 않는 '효율적인' 방법이 아닐까.


- 장혜영의 《사랑과 법》 중에서 -


* 우리의 뇌는
새로운 일에 도전할 때 활성화됩니다.
삶이 지루해질 때 새로운 공부를 시작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인생은 끝까지 배움을 놓치 않을 때
풍요로워질 수 있습니다. 적당한 긴장감과 함께
더욱 즐거워질 수 있습니다. 낯선 여행지, 우연히
들른 책방에서 문득 만난 책 한 권을
읽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군가 불쾌한 말을 했을 때  (0) 2024.06.12
오뚝이처럼  (0) 2024.06.11
어싱(earthing)  (0) 2024.06.10
더 가까워져야  (0) 2024.06.10
눈물의 유품  (0) 2024.06.10
반응형

'나는 소중하기에'
내 소중한 삶을 유예할 수 없습니다.
자신의 관계 속 책무는 자신이 지켜나가야 할
'내 삶의 일부'입니다. 하지만 누군가를 부양하기
위한 도구로 내가 태어난 것은 아닙니다. 각자의
삶의 중심은 자기 자신에게 있습니다. 부양의
의무는 '내가 해야 할 일' 중에 하나일
뿐이지 그것이 '나의 모든 것'이
될 수는 없습니다.


- 송길영의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 중에서 -


* '나'는 소중합니다.
누군가를 부양하기 위해 태어난 것은
물론 아닙니다. 그러나 '나'는 그 누군가의 부양을
받았기 때문에 지금 이 순간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태중에서도, 태밖으로 나와서도 부양 받아 생명을
존속시켰습니다. 세상 모든 사람들은 서로가
서로를 위한 정교한 부양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내가 소중하기에
나의 부양 의무도 소중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에 마시는 차  (0) 2024.06.03
찰나  (0) 2024.06.03
무슨 일이 있어도 괜찮아요  (0) 2024.05.30
숲에서는 사람도 나무가 된다  (1) 2024.05.29
분노 조절 장애  (0) 2024.05.28
반응형

저 짜증 잘 내요.
그런데 오래가지 않아요.
저 화 잘 나요. 그런데 화내지 않아요.
저 욕먹을 때도 있어요. 그런데 괜찮아요.
기분도 몸도 안 좋을 때가 많아요. 그런데
받아들여요. 무슨 일이 있어도 괜찮아요.
좋은 일 나쁜 일 둘 다 좋아요. 긍정의
태도는 놓지 않아요. 좋은 일도
나쁜 일도 없다는 걸
잘 알아요.


- 용수 스님의 《마음》 중에서 -


* 세상살이엔
좋은 일도 많고 나쁜 일도 많습니다.
아닙니다. 좋은 일도 없고 나쁜 일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무슨 일이 있어도 괜찮습니다.
나쁜 일도 좋은 일의 시작일 수가 있고,
좋은 일은 더 좋은 일의 디딤돌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초긍정의 삶이
달인의 경지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찰나  (0) 2024.06.03
나는 소중하기에  (0) 2024.05.31
숲에서는 사람도 나무가 된다  (1) 2024.05.29
분노 조절 장애  (0) 2024.05.28
신발을 벗어라  (0) 2024.05.27
반응형

충분히
어두워야
별을 볼 수 있다.
고난의 시간에는 과학적인 가치가 있다.
훌륭한 학생은 그를 놓치지 않는다.


- 마크 마토우세크의 《인생의 12가지 원칙》 중에서 -


* 낮에 뜬 달은 빛이 희미합니다.
그러나 어둠이 내리면 휘영청 그 존재를 드러냅니다.
낮이나 밤이나 달은 그대로이나, 배경이 다를
뿐입니다. 사람의 삶도 그러합니다.
고난과 역경 속에서 그 존재는
더욱 빛을 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골 아낙들의 '자기 밭'  (0) 2024.05.02
영혼이 우리를 설레게 한다  (0) 2024.05.02
자기애(自己愛)  (0) 2024.04.29
침묵  (0) 2024.04.29
선물을 주는 기쁨  (0) 2024.04.26
반응형

흔히 노숙인은
돈이 없는 사람, 집이 없는 사람,
직업이 없는 사람으로 이해된다.
그들에게는 돈, 집, 직업보다 더 중요한 것이
없다는 걸 알게 되었다. 아무리 힘든 일이 생겨도,
아무리 위급한 상황에 놓여도 연락하거나 도움을
청할 사람이 없는 사람, 그게 바로 노숙인의 현실이다.
거기서 노숙인의 정의를 이끌어 냈다. 노숙인은
돈, 직업, 집이 없는 사람이기 이전에
사람이 없는 사람이다.


- 최준영의 《가난할 권리》 중에서 -


* 우리 모두는
어떤 의미에서 '노숙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얼마쯤의 돈과 직업, 집이 있다 해도 '사람이 없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사랑받은 사람, 사랑을 줄
사람. 사람이 없다는 것은 삶의 의미가 없다는
뜻도 됩니다. 모든 것에서 의미를 잃어버린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자기 자신에게서
조차도 의미를 발견하지 못하는,
다른 말로 하면 희망을 잃은
사람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을 주는 기쁨  (0) 2024.04.26
일말의 불안감  (0) 2024.04.25
하늘과 땅의 기운  (0) 2024.04.23
저기 엄마가 걸어오네  (0) 2024.04.22
봄꽃비  (0) 2024.04.22
반응형

길을 가노라면
산을 넘고 물을 건너며
바람 불고 비 뿌리는 험한 들을 만나지
않을 수 없는 것같이 영원의 순례자인
우리는 온갖 선악적 경계선을 넘어야
하는데 그 경계선에 매달려 끌려가는
죄수 같지는 않게 되어야 합니다.


- 김일엽의 《청춘을 불사르고》 중에서 -


* 삶을 단편적으로 보면,
억울하고 불공평하고 엉망진창인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시야를 넓혀 거시적으로 보면, 삶은 아주
공평합니다. 햇볕이 있으면 응달이 있고, 겨울이
있으면 봄도 있습니다. 빛과 어둠이 질서 있게
주어지는 것임을 알게 됩니다. 선악의 경계에
갇힌 죄수처럼 살 이유가 없습니다. 지금
자신이 어느 지점을 지나고 있는지
그것만 깨달으면 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점도 큰 재능  (0) 2024.04.19
왜 최종면접에만 가면 떨어지는 것일까?  (0) 2024.04.18
그냥 그런 날도 있다  (0) 2024.04.16
잠들기 전 스트레칭  (0) 2024.04.15
큰 비 끝에 뜬 무지개  (0) 2024.04.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