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やはり, やっぱり(야하리, 얏파리), さすが(사스가) 

 

やはり, やっぱり(야하리, 얏파리)  : '역시'라는 뜻

 

사스가는 (긍정이든 부정이든) 예상을 뛰어넘거나 명성대로일때, 야하리는 예상대로의 결과일때 사용한다. 

 

 

반응형
반응형

몸속의
가장 적대적인 요소들을 친하게
만들어서 서로 사랑하게끔 해야 합니다.
가장 반대되는 것들이 가장 적대적입니다.
즉, 차가운 것은 뜨거운 것, 쓴맛은 단맛, 건조한
것은 습한 것과 반대되지요. 우리 조상이신
아스클레피오스(의술의 신)께서는
반대되는 것들이 서로 사랑하며
사이좋게 지내게 했습니다.


- 플라톤의 《향연》 중에서 -


* 남극과 북극처럼
어느 곳이든 극단은 존재합니다.
그 극단은 가장 멀고 가장 적대적인 요소이지만
사실은 가장 서로를 보완하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단단함 속에 부드러움이, 불과 물이, 무거운 것과
가벼운 것인 5원소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사람과 세상 만물을 이루고 있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발등 찍기  (0) 2025.01.20
산책이 사람을 똑똑하게 만든다  (0) 2025.01.17
사람을 남기는 장사  (0) 2025.01.15
달맞이꽃  (0) 2025.01.14
부끄러움  (0) 2025.01.13
반응형
""" 
정렬 알고리즘 실행 시 비용 계산은 보통 실행 시간(시간 복잡도)이나 작업 횟수를 측정하여 이뤄집니다. 

이를 위해 Python에서 time 모듈이나 timeit 모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간 복잡도에 따른 차이

1.퀵 정렬:
    평균 시간 복잡도 𝑂(𝑛log⁡𝑛)O(nlogn).
    큰 데이터셋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

2.버블 정렬:
    최악 및 평균 시간 복잡도 𝑂(𝑛2)O(n 2 ).
    작은 데이터셋에서는 괜찮지만, 데이터 크기가 클수록 비효율적.
    
"""
import time  # 실행 시간 측정을 위한 모듈

# 퀵 정렬 알고리즘
def quick_sort(arr):
    if len(arr) <= 1:
        return arr
    pivot = arr[len(arr) // 2]
    left = [x for x in arr if x < pivot]
    middle = [x for x in arr if x == pivot]
    right = [x for x in arr if x > pivot]
    return quick_sort(left) + middle + quick_sort(right)

# 버블 정렬 알고리즘
def bubble_sort(arr):
    n = len(arr)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0, n - i - 1):
            if arr[j] > arr[j + 1]:
                arr[j], arr[j + 1] = arr[j + 1], arr[j]
    return arr

# 테스트 데이터 생성
import random
array_size = 1000  # 데이터 크기
test_array = random.sample(range(1, 10000), array_size)


print(f" test_array : {test_array} \n\n\n")

# 퀵 정렬 실행 시간 측정
start_time = time.time()
quick_sort(test_array.copy())
end_time = time.time()
print(f"퀵 정렬 실행 시간: {end_time - start_time:.5f}초")

# 버블 정렬 실행 시간 측정
start_time = time.time()
bubble_sort(test_array.copy())
end_time = time.time()
print(f"버블 정렬 실행 시간: {end_time - start_time:.5f}초")


# 병합 정렬 알고리즘
def merge_sort(arr):
    if len(arr) <= 1:
        return arr
    mid = len(arr) // 2
    left = merge_sort(arr[:mid])
    right = merge_sort(arr[mid:])
    return merge(left, right)

def merge(left, right):
    result = []
    i = j = 0
    while i < len(left) and j < len(right):
        if left[i] < right[j]:
            result.append(left[i])
            i += 1
        else:
            result.append(right[j])
            j += 1
    result.extend(left[i:])
    result.extend(right[j:])
    return result

# 병합 정렬 실행 시간 측정
start_time = time.time()
merge_sort(test_array.copy())
end_time = time.time()
print(f"병합 정렬 실행 시간: {end_time - start_time:.5f}초")

[python] 정렬 알고리즘 실행 시 비용 계산은 보통 실행 시간(시간 복잡도)이나 작업 횟수를 측정

 

 

 

반응형

'프로그래밍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Scatter plot animated using python, ffmpeg  (0) 2025.01.16
[python] Happy New year 2025 loop  (0) 2024.12.30
[python] Merry christmas Tree  (0) 2024.12.24
[python] pair plot  (1) 2024.12.20
[python] Generate OTP using python  (1) 2024.12.13
반응형

처음 장사를 해 보지만
이곳에서 배운 것이 몇 가지 있다.
남들보다 먼저 문을 열고
남들보다 늦게 문을 닫으면
망할 일은 없는 것이 장사 같다.
장사는 이문을 남기는 것보다
사람을 남겨야 한다.


- 최요한의《시를 쓰고 커피를 볶는 것은 운명이 아닐까요?》중에서 -


* 장사든 뭐든
성공 비결은 단순한 것에 있습니다.
부지런함입니다. 한 발 먼저, 한 번 더 챙기면
적어도 망할 일은 없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 '목적'에 있습니다. 이문을 남기는 것이야말로
장사의 기본이지만 궁극의 목표가 돈이 아니라
사람이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할 때 더 큰 성공,
더 의미 있는 성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책이 사람을 똑똑하게 만든다  (0) 2025.01.17
가장 적대적인 요소  (0) 2025.01.16
달맞이꽃  (0) 2025.01.14
부끄러움  (0) 2025.01.13
힘(力)  (0) 2025.01.13
반응형

[🔴속보] "윤석열 대통령, 곧 관저 나올 듯"…3차 저지선 정문 열려 / YTN https://www.youtube.com/watch?v=Q5T8LWgDDc0

반응형
반응형

달맞이꽃은
밤에 꽃을 피우는 잡초다.
달맞이꽃은 약용으로는 '대소초'라 불리며,
'월견초'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독일어로는 '나흐트케르체Nachtkerze'인데,
이것은 '밤의 양초'라는 뜻이다.
이 이름대로 달맞이꽃은
어두운 밤일 수록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


- 이나가키 히데히로의 《잡초들의 전략》 중에서 -


* 밤에 피는 꽃,
달이 뜨면 더 선명하고 아름다운 꽃,
캄캄한 어둠을 배경으로 피어난 달맞이꽃의
노랑은 그 자체로 호롱불이고 반딧불입니다.
해를 바라보듯 피어나 해바라기인 것처럼
달을 맞이하듯 피어나 달맞이꽃인 것인가.
달빛이 총총총 다가오는 듯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적대적인 요소  (0) 2025.01.16
사람을 남기는 장사  (0) 2025.01.15
부끄러움  (0) 2025.01.13
힘(力)  (0) 2025.01.13
차를 마시며 '나'로 향한다  (0) 2025.0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