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카멜 표기법(camelCase) 
    "camelCase" 
    "단봉낙타" 표기법[1][2] 
    각 단어의 첫문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고 붙여쓰되, 맨처음 문자는 소문자로 표기함 
    띄어쓰기 대신 대문자로 단어를 구분하는 표기 방식 
    예시: backgroundColor, typeName, iPhone
2. 파스칼 표기법(PascalCase)
    "PascalCase" 
    첫 단어를 대문자로 시작하는 표기법 
    예시: BackgroundColor, TypeName, PowerPoint
* 각종 네이밍 룰(Naming Rule) 
1. 카멜 케이스 (Camel Case) 
 - 흔히 접하는 표기법. 가장 처음에 오는 문자는 소문자로 표기하고, 각 단어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표기 
 - 예) deleteNumber, insertNumer 
2. 파스칼 케이스 (Pascal Case) 
 - 쌍봉낙타 표기법. 각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표기 
 - 가장 처음에 오는 문자도 대문자로 표기하는 점에서 카멜 케이스와 차이점 
 - 예) DeleteNumber, InsertNumber 
3. 스네이크 케이스 (Snake Case) 
 - 각 단어의 사이에 언더바를 삽입 
 - 예) delete_number, insert_number 
4. 헝가리언 표기법 (Hungarian notation) 
 - 데이터의 타입을 의미하는 접두어를 붙이는 표기법 
 - 마이크로소프트의 찰스 시모니가 제안했으나 현재는 MS조차 공식 가이드라인에서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하는 비운의 표기법 
 - 예) nCnt, m_empName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oot Camp 지원을 사용하여 Mac에 Windows 10 설치하기 (0) | 2020.06.25 | 
|---|---|
| 열정페이? 그림왕양치기 (0) | 2020.06.22 | 
| 구글, 안드로이드11 첫 베타 공개 (0) | 2020.06.15 | 
| 이력서보다, 당신의 코드가 우선시되는프로그래머스만의 채용 프로그램을 만나보세요. - 프로그래머스 (0) | 2020.06.15 | 
| 이클립스 원하는 라인으로 이동. 단축키 모음 (0) | 2020.06.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