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구글,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 대규모 업데이트… 'AI 에이전트 모드' 무료 공개
"AI가 코드를 짜는 것"에서 나아가, "AI와 함께 코드를 설계하고 협업하는 방식"으로... 대화형 피드백 루프를 통해 보다 지능적인 개발 파트너로 진화

구글이 인공지능(AI) 코딩 도우미인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Gemini Code Assist)'에 새로운 '에이전트 모드(Agent Mode)'를 포함한 대규모 업데이트를 17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제미나이 CLI(Command Line Interface) 및 에이전트 모델은 물론, 일상적인 워크플로를 더욱 원활하고 직관적으로 만들어 주는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통합개발환경) 기능 개선도 포함되었다. 개인 사용자는 버추얼 스튜디오 코드(Visual Studio Code-보기) 플러그인이나 젯브레인스 IDE(JetBrains IDE-보기)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무료로 시작할 수 있다
향후 기능 업데이트는 공식 릴리스 노트(보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 업데이트를 통해 일상적인 개발 워크플로우를 더욱 원활하고 직관적으로 만들어 개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에이전트 모드... ‘도우미’ 넘어 ‘공동 개발자’로
신규 기능인 에이전트 모드는 기존의 단일 파일 기반 코드 생성 기능을 넘어, 프로젝트 전체 구조와 코드베이스를 분석해 복잡한 멀티파일 작업까지 수행할 수 있는 AI 기능이다.
구글은 최근 개발자를 위한 두 가지 주요 AI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제미나이 CLI(보기)는 AI를 명령줄에 직접 통합하여, 개발자가 터미널에서 바로 질문하고 코드를 생성하며 디버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컨텍스트 전환을 없앤다.
이를 더욱 발전시킨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의 새로운 에이전트 모드는 AI 페어 프로그래머 역할을 한다. 이는 전체 코드베이스를 분석하여 복잡한 다중 파일 작업을 계획하고 실행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기능을 구현하거나 대규모 리팩토링을 단일 프롬프트에서 수행함으로써 개발 프로세스를 크게 가속화한다. 이를 도구라기보다는 작업을 위임하는 방식으로 생각할 수 있다. 에이전트 모드는 지난달 'Insiders' 채널 개발자들에게 먼저 공개되었다.
에이전트 모드의 강점은 포괄적인 프로젝트 이해력에 있다. 에이전트는 열려 있는 파일뿐만 아니라 전체 코드베이스를 분석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아키텍처, 종속성, 코딩 패턴 및 다양한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모델링한다.
이를 통해 제안 사항이 컨텍스트를 인식하게 되므로, 에이전트는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에 걸쳐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알게 된다. 또한 기존 코딩 스타일을 존중하여 더 높은 품질의 일관된 코드를 생성한다. 이러한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인식은 오류를 줄이고, 일치하지 않는 제안을 수정하거나 컨텍스트를 설명하는 데 드는 시간을 줄여준다.
프로젝트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바탕으로, 코드 어시스트의 에이전트는 다중 파일 편집을 가능하게 한다. 이전에는 중요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조각조각 진행되는 과정이었을 수 있다. 한 파일에 대한 코드를 생성하고 다른 파일에 대한 코드를 생성한 후, 모든 것을 수동으로 연결해야 했다. 에이전트 모드를 사용하면 이제 단일 요청을 통해 코드 어시스트가 코드베이스 전체의 모든 변경 사항을 조율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하나의 프롬프트만으로 <대규모 리팩토링> "모든 API 엔드포인트가 새 인증을 사용하도록 업데이트해줘." <기능 구현> "새로운 풀스택 사용자 설정 페이지를 추가해줘." <종속성 업그레이드> "코어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하고 모든 호환성 문제를 수정해줘." 등으로 단일 프롬프트로 대규모 작업을 지시할 수 있다.
에이전트 모드는 코드 구조, 의존성, 아키텍처 패턴까지 분석해 기존 개발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기능을 구현하며, 모든 변경 사항은 사전에 상세한 계획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사용자는 이를 검토, 수정 또는 거절할 수 있어 개발 주도권은 여전히 사람에게 있다.
이러한 협력적 루프는 AI의 속도와 규모를 사용자의 도메인 전문 지식 및 아키텍처 비전과 결합한다. 이는 최종 결과가 기능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정확히 의도한 대로임을 보장한다.
또한 안심할 수 있도록 지난 6월 업데이트에서는 체크포인트로 되돌리는 기능이 도입되었다. 일련의 제안을 수락했지만 올바르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영향을 받는 모든 파일을 변경 사항이 적용되기 전 상태로 쉽게 되돌릴 수 있어 과감한 실험을 장려한다.
IDE 개선 기능으로 더 정밀한 제어와 원활한 경험

구글은 지난달 컨텍스트에 대한 더 세밀한 제어를 제공하는 업데이트를 출시했다. 코드 어시스트는 이제 .gitignore 파일을 자동으로 적용하고, 민감하거나 레거시 코드를 무시하기 위해 .aiexlude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특정 코드 스니펫에 채팅 초점을 맞춰 더 정확한 질문을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출력을 채팅에 직접 첨부하여 명령에 대해 묻거나 오류를 디버깅할 수 있어 로그를 복사-붙여넣기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기능들은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에 대한 정밀한 제어를 제공한다. 관련 없는 파일을 제외하고 특정 스니펫 또는 터미널 로그에 집중함으로써 더 빠르고 정확하며 관련성 높은 답변을 얻을 수 있어 디버깅 및 분석 속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채팅 경험이 더 반응적이고 직관적으로 개선되었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코드 제안이 깔끔한 미리 보기 블록으로 나타나며, 이를 접거나 확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 탐색도 더 쉬워졌는데, 채팅에서 코드 어시스트가 언급하는 파일 이름은 이제 편집기에서 즉시 열리는 클릭 가능한 링크가 되었다.
긴 응답의 경우,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가 입력하는 동안 채팅이 자동으로 스크롤되지만, 원하면 이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질문을 했는데 잘못된 질문이었거나 응답이 너무 오래 걸린다고 판단되면, 진행 중인 채팅 응답을 즉시 중지할 수 있어 시간과 좌절감을 줄여준다.
이러한 개선 사항들은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를 더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스크롤하거나, 텍스트를 파싱하거나, 파일을 수동으로 탐색하는 데 시간을 덜 소비하게 하여 개발자가 '몰입 상태(state of flow)'를 유지하고 가장 중요한 문제 해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는 단순한 코드 생성기를 넘어, 코드 품질 유지, 개발자 스타일 학습, 대화형 피드백 루프를 통해 보다 지능적인 개발 파트너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이번 업데이트는 "AI가 코드를 짜는 것"에서 나아가, "AI와 함께 코드를 설계하고 협업하는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Visual Studio Code(VS Code)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코드 어시스턴트인 Copilot과 Gemini를 비교 (1) | 2025.07.21 |
---|---|
Windows 11 크롬 개발자 도구(DevTools) 콘솔에 복사/붙여넣기 안될때 (0) | 2025.06.19 |
Windows 가상데스크탑 활용하기 (0) | 2025.06.17 |
팀이 너무 커졌을 때 (0) | 2025.06.09 |
Android에서 Localhost를 이용한 은밀한 웹-앱 트래킹 기법 공개 (localmess.github.io) (0) | 2025.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