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시경은 35세가 되어서야 비로소 이런저런 공부를 마칠 수 있었다. 그때는 1910년 불행하게도 나라가 일제에 패망한 해였다. 하지만 그는 절망에 빠지지 않고 민족정신을 바로 세우기 위한 국어 운동, 국어 연구와 교육을 통한 계몽 운동을 더욱 활발히 전개했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그를 두고 사람들은 '주보따리'라고 불렀다. 가방이 없던 시절, 보자기에 책을 싸서 우리말 한글을 가르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마다하지 않고 찾아갔기 때문이다.
- 김슬옹의 《길에서 만나는 한글》 중에서 -
* 민족정신을 되찾는 길은 그 민족의 혼이 담긴 말과 글을 지키는 것입니다. 주시경 선생님같은 위대한 분들이 계셨기에 우리가 한글이라는 빛나는 문화유산을 잃지 않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말과 글이 혼탁해지고 정체를 알 수 없는 신조어가 난무해, 세대간 소통조차 어려운 오늘날, 주시경님과 그분의 별명인 '주보따리'를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 한글 자음인지 확인
"""
# Define the list of Korean initial consonants (초성)
INITIAL_CONSONANTS = [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
def is_korean_char(ch):
"""Check if the character is a Korean syllable."""
return 0xAC00 <= ord(ch) <= 0xD7A3
def get_initial_consonant(ch):
"""Extract the initial consonant from a Korean syllable."""
if not is_korean_char(ch):
return None # or you could return an empty string or raise an exception
# Calculate the index for the initial consonant
initial_index = (ord(ch) - 0xAC00) // (21 * 28)
return INITIAL_CONSONANTS[initial_index]
# Example usage
sentence = "안녕하세요"
initials = [get_initial_consonant(ch) for ch in sentence if is_korean_char(ch)]
print(''.join(initials)) # Output: ㅇㄴㅎㅅ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