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행복은 거창한 게 아니라, 주변에 천개의 얼굴로 숨어있어요.
남과 나를 비교하지 않는 자세,
상대방을 먼저 배려하는 것도 행복을 누리는 길인 거 같아요.
내가 먼저 배려하면 그게 선한 영향력을 발휘해 내게로 돌아옵니다.”
- 이해인 수녀

행복은 조건이 아닙니다. 행복은 마음가짐입니다.
행복하자고 맘먹고 주변을 둘러보면 행복해야할
수천가지 일들이 널려 있음을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쓰는 말만 바꿔도 행복해집니다. ‘사랑한다’. ‘고맙다’, ‘기쁘다’,
‘감사하다’는 말을 할 때마다 행복해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행복하지 않다면 자신을 탓할 수밖에 없다.
신은 우리 모두가 행복해지도록 창조했기 때문이다.
불행은 가질 수 없는 것을 원하는데서 찾아온다.
행복한 이는 자신이 가진 것에 만족한다.
- 톨스토이

톨스토이는 말합니다. “자신에게 닥친 불행은 피할 수 있지만,
스스로 만들어낸 불행은 극복할 수 없다.
행복하지 못하다면 두 가지 변화를 꾀할 수 있다.
하나는 삶의 조건을 낫게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내적 영혼의 상태를 낫게 하는 것이다.
첫 번째는 늘 가능한 것이 아니지만, 두 번째는 늘 가능하다.”


...
반응형
반응형
일반적으로 행복한 사람들은 상향비교보다 하향비교를 더 많이 한다.
상황이 어찌되건 간에 이들은 더 안 좋은 상황의 사람들을 본다.
그리고 자신이 얼마나 복 받았는지를 깨닫는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이 가진 것에 집착하기 보다는
자신이 가진 것에 감사하는 법을 배웠다.
- 앤프레드 케츠 드 브리스, ‘삶의 진정성’에서

반면, 불행한 사람들은 상향비교를 선호합니다.
이들은 자기들이 뽑는 패는 항상 최악이라는 증거를 찾느라
시간을 보냅니다. 불행한 사람들은 주로
상향비교를 하면서 자기보다 다른 이들이 더 나은
삶의 조건을 가졌다는 사실에 초점을 둡니다.
행복은 스스로의 선택에 달려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낙관주의는 자신이 선택한 바대로 인생에 길을 낸다.
성공은 낙관주의자들의 몫이다.
그들은 더 많은 친구를 사귀고, 더 오래 산다.
돈도 잘 벌고 건강도 잘 챙긴다.
어쩌다 상황이 나빠질 때도 그들은 유머를 잃지 않는다.
- 마틴 셀리그만 교수

마틴 셀리그만 교수에 따르면 낙관주의자의 기대수명은
비관주의자보다 19% 더 길다고 합니다.
낙관주의자는 심각한 병에 걸려 수술을 하더라도
그 회복 속도가 훨씬 빠르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행복과 성공은 낙관론자들의 몫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행복해야 한다는 
강박 때문에 더욱 불행해지는 사람들에게 
버나드 쇼는 이런 말을 남겼다. 
"뭔가에 몰두해 있는 사람은 행복하지도 
불행하지도 않다. 움직이며 살아있을 뿐. 
그건 행복보다 더 기분 좋은 상태다." 


- 정여울의《내성적인 여행자》중에서 - 


* 행복은
결심해서 얻는 것이 아닙니다.
'행복해야겠다'는 강박증은 행복은커녕 
끝없는 불행을 불러들일 뿐입니다. 자기가 하는 일, 
사랑, 명상에 몰두하는 시간 속에 행복은 숨어
있습니다. 일을 하면서 기분이 좋으면
이미 행복을 얻은 것입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벽을 허무는 순간  (0) 2018.10.20
설사와 변비  (0) 2018.10.18
'한국의 구엘'을 기다리며...  (0) 2018.10.16
안전띠를 매라  (0) 2018.10.15
당신은 책임감이 있는 사람인가요  (0) 2018.10.13
반응형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공기 중에 있는 모든 축복이
당신의 몸속으로 들어와 세포 하나하나에
퍼지기를 기원하세요. 그리고 천천히 숨을
내쉬면서, 당신 주위로 많은 기쁨과 많은 평화를 
뿌려요. 이렇게 열 번을 반복합니다. 그러면 
당신 자신을 치유하고, 동시에 세상을
치유하는 데 일조할 겁니다.


- 파울로 코엘료의《알레프》중에서 -


* 축복은 씨앗과 같습니다.
기쁨과 평화도 씨앗이 될 수 있습니다.
뿌린대로 거두고 많이 뿌릴수록 많이 거둡니다.
뿌리는 자의 행복과 기쁨이 큽니다.
뿌리는 일이 거듭 반복될수록 
치유의 힘이 커집니다.
세상도 좋아집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나고 보면 아름다웠다 싶은 것 두 가지  (0) 2018.10.05
우정이란  (0) 2018.10.02
얼마나 많이 실패하느냐에 달려 있다  (0) 2018.09.29
달콤한 흥분  (0) 2018.09.28
응어리를 푸는 방법  (0) 2018.09.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