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일은 이웃과 사회에 대한 봉사다.

내가 하는 일이 사람들과 사회에 도움이 된다면

내 돈을 써가면서라도 해야 할 일인 것이다.

내가 이웃을 돕는 것만큼 그들이 또 나를 돕게 되어있다.

그것이 인생이다.

적게 받고 더 많은 것을 베풀면서 살 수 있다면

그보다 보람 있고 행복한 삶은 없을 것이다.

- 김형석 교수, ‘백년을 살아보니’에서

 

김교수는 주장합니다.

“내가 지금 지닌 것 모두는 남에게 받은 것이다.

내가 받은 것에 대한 보답으로 사회를 위해 보답하는 것이

바로 나의 일이요, 직업이다.

어찌 정성껏 봉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

반응형
반응형

많은 직장인은 동료보다 더 빛나고 먼저 승진하는 게

성공적인 커리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가장 일을 잘하는 직장인은

자신의 성공보다 팀의 성공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다.

- 중소기업 투자 전문가 마커스 르모니스

 

나보다 팀을 먼저 생각하는 사람이 결국 승리하게 됩니다.

그들이 나를 응원하고 밀어주기 때문입니다.

먼저 가는 것이 아닌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 것,

혼자 가는 것이 아닌, 더불어 함께 가는 것이

언제나 더 멀리, 그리고 더 빠르게 가는 길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자신의 몸에 대해 아는 것은 

자신을 사랑하는 일의 시작과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더욱이 그것은 사람을 표현하고, 

사람들에게 희망과 깨달음을 안겨줄 

의무를 지닌 예술가들에게는 

필수적인 일이죠. 


- 석정현의《석가의 해부학 노트》중에서 -


* 몸이 사람입니다.

몸이 없으면 사람이 아닙니다.

그 몸 안에 마음과 정신과 영혼이 깃들어 있고

그것을 공부하고 표현하는 것이 예술입니다.

몸 공부가 곧 예술 공부입니다.

내 몸을 제대로 아는 것이

그 시작입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조 작업  (0) 2017.06.15
'그림 같다'  (0) 2017.06.14
'어떻게'가 더 중요하다  (0) 2017.06.12
고통의 짐  (0) 2017.06.11
수행자의 네 가지 단계  (0) 2017.06.09
반응형

평생 일할 시간이 8만 시간쯤 된다.

8만 시간의 5%인 4000시간을 내가 앞으로 어떤 일을 할지,

내 삶의 목적은 무엇인지를 생각하는데 쓰라.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지 생각하는데 4000 시간을 쓰는 사람은

분명 뭔가 의미 있는 삶을 만들어 낼 것이다.

- 윌 맥어스킬 (옥스퍼드대 교수) 


지금 내가 하는 일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가?


내가 가진 잠재력을 극대로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곳인가?


서로 가르치고 배우면서 함께 성장할만한

뛰어난 동료들과 함께 하는가?


나에게 결정권이 있는가?를 묻는데 5%의 시간을 쓴다면

나머지 95% 시간이 분명 가치있게 변화하게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일을 열심히 하던 사람이 

정년 퇴직 후에 성인병에 걸리는 이유... 

식사가 건강이나 젊음을 유지하는 열쇠가 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자기 나름대로 올바른 식생활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아무리 고령화 사회가 되어 

전보다 오래 살 수 있다고 해도 건강하지 않으면 

즐거운 노후를 보낼 수 없기 때문이다. 


- 하루야마 시게오의《뇌내혁명》중에서 - 


* 젊음은 즐거워야 합니다.

노후는 더 즐겁고 즐거워야 합니다.

그 핵심이 '건강'이고, 그 출발이 곧 '식사'입니다.

자신의 체질에 맞는 식사법, 이 간단한 건강 비결을

제가 너무 뒤늦게 알게 된 것이 늘 아쉽습니다. 

한 살이라도 어렸을 때 이 비결을 몸으로 익혀 

내것으로 만들어야 젊음도 즐겁고 

노후도 즐거워집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끽한다는 것  (0) 2017.05.17
너 자신을 괴롭히지 말라  (0) 2017.05.16
내 가슴이 시키는 길  (0) 2017.05.15
난생 처음 먹어 보는 맛  (0) 2017.05.12
가장 멀고, 가장 빛나는 길  (0) 2017.05.11
반응형

초특급 성공을 거둔 수 백명의 특징을 연구해본 결과,

그들을 인터뷰할 때 마다 반복해서 나왔던 한 가지는

‘나는 내 일을 사랑한다’는 이야기였어요.

그 사람들은 해야만 하는 일이라서 또는

수입이 좋아서 하는 게 아니었습니다.

- 헤스터 레이시

 

일이 흥미로울 때 성과도 높아지게 됩니다.

가장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직업으로 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와 반대로

하던 일을 정말 열심히 하다보니 실력도 올라가고

재미도 붙여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자기 일을 사랑하는 사람만이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