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관계에서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
1.기대하지말기
2.많이듣고 적게 말하기
3.무례함을 애써 참지 말기


반응형
반응형

당신을 위로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 위로하는 좋은 말들처럼
평탄한 인생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지 마라.
그의 인생 역시 어려움과 슬픔으로 가득 차 있을 것이다.
당신의 인생보다 훨씬 더 뒤처져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그 좋은 말들을 찾아낼 수조차 없었을 것이다.
- 라이너 마리아 릴케,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중에서


“사상가 폴 비릴리오는 비행기의 발명은 추락의 발명이며
선박의 발명은 난파의 발명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비슷한 맥락에서 인생의 발명은 고단함의 발명이라고 말할 수 있다.
비행기나 선박의 운행에서 사고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듯,
삶의 운행에서 고단함의 제거는 불가능하다.
산다는 것은 고단함을 집요하게 견디는 일이다.”
김영민 교수 칼럼에서 옮겨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내가 지금 상황이 좋다고 오만하면 인생을 망친다.
사람을 끔찍하게 패망시키는 것이 바로 오만이다.
이놈은 어찌나 지독한지, 사람이 죽어 관속에 들어가도
세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관속에 들어가는 게 바로 오만이다.
건강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그만큼 자만과 오만을 경계하고 조심해야 한다.
- 손웅정, ‘모든 것은 기본에서 시작한다.’에서


‘공을 세워도 오만하지 마라. 공을 세워도 과시하지 마라.
공을 세워도 자랑하지 마라. 공을 세워도 그 자리에 오래 머무르지 마라.’
노자 말씀입니다.
재앙에는 복이 깃들어 있습니다. 복은 재앙의 은신처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생의 진정한 비극은 우리가
충분한 강점을 갖고 있지 않다는데 있지 않고,
오히려 갖고 있는 강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데 있다.
- 벤자민 프랭클린


이 세상 어디에도 한 두개의 강점이 없는 개인이나 조직은 없습니다.
그러나 대다수가 그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활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약점을 보완하느라 중요한 자원을 허비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피터 드러커의 예리한 지적처럼 성과는 약점 보완이 아닌 강점 활용에서 나오기에,
약점 보완이 아닌 강점 강화에서 해답을 찾아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소멸에 맞서는
태도도 마찬가지다. 단번에
획기적인 변모를 꾀하지 않으며,
꿈이 완성될 날을 미리 정하지도 않는다.
올해가 안 되면 내년에 하면 되고, 내가 하다가
안 되면 아들 세대나 손자 세대에 하면 된다.
옳은 방향으로 계속 나아갈 것이기 때문에
당장 성과가 나지 않더라도 실패는 아닌 것이다.
파종도 추수도 이 거대한 순환 속에 있다.
어느 것도 절대적인 진리가 아니다.
파종이 시작이 아니듯 추수도
끝이 아닌 것이다.


- 김탁환의《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중에서 -


* 파종은 씨를 뿌리는 시작이고
추수는 열매를 거두는 마무리입니다.
시작과 마무리가 분리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하나로 붙어 있습니다. 추수가 한해 농사의
끝이나 소멸이 아니고 다음해 봄의 파종을 위한 새로운
시작입니다. 성공과 실패도 서로 붙어 있습니다. 성공이
실패의 씨앗일 수 있고, 실패가 끝장처럼 보이지만
더 큰 성공의 씨앗일 수 있습니다. 파종과 추수,
성공과 실패, 이 거대한 순환을 통해 인생은
그 생명력을 유지하게 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묵언의 터널  (0) 2021.10.25
가난한 자들이 기뻐할 때까지  (0) 2021.10.22
행복해지는 방법  (0) 2021.10.20
저체온 여성이 늘고 있다  (0) 2021.10.20
악(惡)은 왜 필요한가?  (0) 2021.10.19
반응형

인생의 목표를 정하기 전에 반드시 다음 4가지를 점검해보아야 한다.
첫째, 자신이 정말 잘 하는 것 (재능),
둘째, 정말 하고 싶은 것 (열정),
셋째, 사회가 원하는 것 (수요),
넷째, 옳다는 확신이 드는 것 (양심)을
적어보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 션 코비(Sean Covey), 프랭클린 코비 부사장


위 4가지의 교집합이 자신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분야가 됩니다.
사회 구성원 하나하나가
자신이 가장 하고 싶고, 또 가장 잘 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일에 매진한다면
모두가 행복해지는 세상을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 뿐만 아니라 기업경영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