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걸음마를 배우는 영아는
평균적으로 2,368걸음으로 701미터를 걷고
한 시간에 17번 넘어진다. 걷기는 다른 많은
기술의 습득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시간을 두고
자주 다양하게 반복하여 연습할 때 가장 많은
학습 효과가 일어난다. 약 1년의 시간 동안
영유아들은 수천 번 걷고, 수천 번 넘어지는
과정을 통해 실패와 연습에 대한
피드백을 쌓으면서 넘어지는
횟수를 줄인다.


- 셰인 오마라의《걷기의 세계》중에서 -


* 인간이면 누구나
걸음마 배우는 과정을 거칩니다.
수천 번 걷고 수천 번 넘어지고, 다시
수천 번 걷고 수천 번 넘어지고를 거듭하며
성장합니다. 까마득한 일이어서 기억조차 없지만
실패와 연습을 반복하던 시절을 돌이킬 수 있다면,
인생살이도 그다지 두려울 게 없습니다.
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면 되니까요.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수의 순기능  (0) 2022.12.24
수치심  (0) 2022.12.23
'그런 걸 왜 하니'  (0) 2022.12.21
3~4년이 젊어진다  (0) 2022.12.20
호기심 천국  (0) 2022.12.19
반응형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만큼 위대해질 수 있다.
자신을 믿고 용기, 투지, 헌신, 경쟁력 있는 추진력을 가진다면,
그리고 가치 있는 것들을 위한 대가로
작은 것들을 희생할 용기가 있다면 가능하다.
- 빈스 롬바디


‘생각이 팔자’라는 말이 있습니다. 생각하는 대로 팔자가 변한다는 말입니다.
모든 것이 같은 상황에서 성공하리라 믿으면 성공하고,
실패할 것이라고 지레 겁먹으면 실패하는 사례들을 많이 경험하게 됩니다.
헨리 포드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옳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옳다.
그가 생각하는 대로 되기 때문이다.’고 생각의 중요성을 설파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 인간은 참 편을 가르고
상대편에게는 빗장 걸기를 좋아하네
경계를 짓고 울타리를 치는 일들이
언제부터 생겨났을까? 아마
인간 삶의 자리 태초부터
아니었을까?


- 김성호, 류해욱 신부의 연작시집 《햇살 속 그리움 그리고
  영성》에 실린 시 <고개 숙인 벼들을 바라보며> 중에서 -


* 인간의 역사 속에
'내 편' '네 편'은 언제나 존재했습니다.
오늘도 편가르기는 피할 수 없는 인간사입니다.
그러나 너도 나도 하나가 되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큰 어려움을 당했을 때입니다. 일단 뭉쳤다가
다시 갈라서도 늦지 않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각성  (0) 2022.11.07
'적정 긴장'  (0) 2022.11.03
최악의 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  (0) 2022.11.01
아비규환  (0) 2022.10.31
언어 너머의 우주  (0) 2022.10.31
반응형

육체가 쓰러지면
그전에는 깨닫지 못했던 것을
다시금 깨닫게 된다.
인간은 관계의 덩어리라는 것을.
오직 관계만이 인간을 살게 한다는 것을.


- 생텍쥐페리의《아리스로의 비행》중에서 -


* 사람은 혼자 살 수 없습니다.
실타래처럼 얽힌 관계 속에서 살아갑니다.
보통 때는 잘 모르다가도 몸이 몹시 아플 때
가까운 사람의 손길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깨닫게 됩니다. 평소의 인간관계 속에
몸과 마음의 건강이 걸려 있습니다.
함께 사는 존재들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공장  (0) 2022.10.20
눈 감아도 빛나는 당신  (0) 2022.10.19
선수와 코치  (0) 2022.10.17
반추(反芻)  (1) 2022.10.14
마법에 걸린 사랑  (0) 2022.10.13
반응형

인생은 70~80년,
길어야 100년이라고들 얘기하지만,
이건 사실 잘못된 정보다. 인간은 불멸의 존재이며
인류의 역사는 곧 나의 역사다. 어떤 경우든 큰 순환
안에서 작은 순환은 계속 반복되며, 성장을
지속하는 사람은 점차 좋은 것과 나쁜 것,
단것과 쓴 것을 초월하는 해탈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 윤민의《아주 오래된 노래》중에서 -


* 시간이 흐르고 세월이 간다고
사람이 성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몸이
자란다고 해서 정신이 함께 성장하는 것도 아닙니다.
자신의 몸과 마음, 인생의 쓴맛과 단 맛의 순환과
반복 속에 조금씩 해탈의 경지에 이르며, 비로소
좋은 것 나쁜 것을 초월하게 됩니다. 성장을
지속하는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그 사회도
성장을 지속하게 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잘 살고 계시나요?  (0) 2022.10.04
말과 글, 뜻과 일  (0) 2022.09.30
지킬 때가 있고 버릴 때가 있다  (0) 2022.09.28
실컷 먹고 아프든지, 덜먹고 건강하든지  (0) 2022.09.27
감개무량  (0) 2022.09.26
반응형

'엄마는 아기를
완벽하게 만족시킬 수 없고
아기에겐 세상을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두 유한성이 함께 있으면 반드시 혼란과 상처를
겪을 수밖에 없다.' 멜라인 클라인이 한 말이래요.
흔히들 부모가 아이에게 상처를 준다고 하지만
꼭 그런 건 아니었어요. 뜻밖에도 사람에겐
태어나면서부터 상처가
존재했던 거예요.


- 쉬하이오의《애쓰지 않으려고 애쓰고 있어요》중에서 -


* 완벽한 엄마는 없습니다.
완벽하게 태어나는 아이는 더구나 없습니다.
부족하고 미숙한 상태에서 태생적 상처를 안고
살아갑니다. 명상에서의 '까르마'처럼 인간의 유전자
속에는 이미 '태생적 상처'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엄마의 책임도 아이의 책임도 아니지만
치유는 두 사람 모두의 책임입니다.
엄마와 아기가 함께 서로의
치유자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개무량  (0) 2022.09.26
나를 찾아라  (0) 2022.09.26
똥 냄새에 질겁을 했다  (0) 2022.09.22
벽에 대고 말하기  (0) 2022.09.21
코로나 엔데믹  (0) 2022.09.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