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인간은 역사를 만드는 동물이다.

역사는 단순한 사실의 축적이 아니다.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유기적으로 잇는

서사가 역사다. 역사는 거대한 집단뿐 아니라 

개인의 차원에서도 생성된다. 시간의 연속성 

속에서 자신을 발견할 때, 우리는 비로소

'살아 있음'을 확인한다. 인생은

'살맛'이 난다. 


- 김찬호의《생애의 발견》중에서 -



* 민족의 역사도

한 사람의 개인에서 출발합니다.

거대한 기업의 역사도 한 사람의 작은 발걸음에서

시작됩니다. 아무도 가지 않았던 새로운 길,

아무도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체험,

한 사람이 기록한 작은 역사책이

새로운 역사를 창조합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식 있는 진화  (0) 2017.09.25
젊은 날의 여행  (0) 2017.09.25
감각을 살려라  (0) 2017.09.21
불(火)  (0) 2017.09.20
'왕서방'들의 성공 비결  (0) 2017.09.19
반응형

인간은 

현명하고 쓸모 있고 평온한 사람이 된 만큼 

성장한 것이며, 성장한 만큼 성공한 것이다. 

그러니 그대는 시야를 넓혀 멋지고, 아름답고, 

목적의식이 있는 것들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하라. 

음악, 미술, 훌륭한 문학작품, 폭넓은 철학, 위대한 

사상 등을 가까이 하면 내면의 삶을 좋은 것들로 

가득 채울 수 있다. 내면의 삶이 

좋은 것들로 가득 차면 세상도 

훨씬 좋은 곳이 된다. 


- 맨리 P. 홀의《돌아보고 발견하고 성장한다》중에서 - 



* 쓰레기로 채워지면 

더러운 쓰레기통입니다.

꽃들로 채워지면 아름다운 꽃밭입니다.

나의 내면의 그릇을 무엇으로 채우느냐에 따라

외면의 풍모가 달라집니다. 하루하루 반복되는 

일상의 시간들을 어떻게 채우고 관리하느냐,

자기 자신의 성장과 성공의 비결이

그 시간 속에 숨어 있습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께할 수만 있다면  (0) 2017.09.14
베스트 파트너  (0) 2017.09.13
'먹는 즐거움'에 관한 것  (0) 2017.09.11
리더의 비정함과 사랑  (0) 2017.09.11
당신은 나의 꽃, 나의 향기  (0) 2017.09.08
반응형

"인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두 날짜는 

자신이 태어난 날과, 자신이 왜 

태어났는지 알게 되는 날이다."

(마크 트웨인)



- 맨리 P. 홀의《돌아보고 발견하고 성장한다》중에서 - 



* 내가 왜 태어났는지 알게 되는 날,

결코 놓쳐서는 안되는 '두 번째 생일'입니다.

하늘이 준 소명, 이타적 꿈이 생겨납니다. 

어제의 내가 아닌, 전혀 새로운 존재로 

다시 태어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인간은 도전을 좋아하게 되어있다.

우리가 안전지대를 벗어나 한계를 밀어붙이고

능력을 최대치로 발휘할 때에만

몰입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 피터 디아만디스, ‘볼드’에서 


스스로 하고자 하면

우리의 뇌는 어려움도 즐거움으로 바꿔서 인식합니다.

웃으면서 스스로 도전하는 사람들은

일부러 악조건을 만들어서 즐기기도 합니다.

우리는 안주가 아닌 도전을 위해 태어났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우리를 옆길로 세게 만드는 것들은 단기적 효과를 갖는 것들,

즉 욕정, 두려움, 허영, 식탐 같은 것들이다.

우리가 인격이라고 부르는 것들은 오래가는 것들,

즉 용기, 정직, 겸양 같은 것들이다.

인격을 지닌 사람들은 같은 방향으로 오래도록 순종하는

능력이 있어서, 그것이 사람이 됐든 소명이 됐든

대의가 됐든 시종일관 변함없는 태도를 보인다.

- 인간의 품격(데이비드 브룩스) 


자기제어라는 근육은 금방 피로해지기 때문에

애초에 유혹을 피하는 것이

유혹을 만나 저항하는 것보다 쉽습니다.

새로운 좋은 습관이 확고히 정착되기 전까지는

절대 예외를 용납해서는 안되는 이유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오늘날 인류가 세계를 정복한 주요 요인은

여럿이 소통하는 능력이었다.

오늘날 인간이 이 행성을 지배한 것은

인간 개인이 침팬지나 늑대보다 훨씬 더 영리하고 

손놀림이 민첩해서가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가

여럿이서 유연하게 협력할 수 있는 유일한 종이기 때문이다.

- 유발 하라리, ‘호모데우스’에서

 

위대한 지도자는 

1)상상을 통해 없는 미래를 그려내고,

2) 거기에 의미를 더해 스토리를 만든 다음,

3) 끝없는 소통을 통해 이를 공유함으로써,

4)대규모 유연한 협력을 이끌어냅니다.


이를 비저너리 리더(Visionary Leader)라 칭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