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다른 사람들에게 시간을 쓰는 것은
연결감을 선물하고 의미 있는 경험을 준다.
이게 다가 아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시간을 낼 때,
자신이 유능하다고 느끼며 자신감이 커진다.
뭔가를 성취하는 기분이 들고, 그리하여
앞으로 더 많이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긴다.
- 캐시 모길너 (UCLA 교수) 

먼저 주면 더 많이 받게 됩니다. 다른 사람을 도울수록
우리는 더 행복해지고, 더 충만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남을 잘 돕는 사람이 더 크게 성공합니다.
남을 돕는 것은 결과적으로 나를 위한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창의적이고 생산성이 높은 사람들은 많이 쉬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단한 성취를 한 것이 아니다.
많이 쉬었기 때문에 그런 성취가 가능한 것이다.
하루 24시간, 주 7일 내내 쉼 없이 돌아가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더 똑똑해지고 더 창의적이 되기 위해, 더 행복해 지기 위해
일과 휴식을 조화시키는 법을 배워야 한다.
- 알렉스 수정 김 방, ‘일만하지 않습니다.’에서 

조르조 바사리는 ‘예술가들의 삶’이라는 책에서
“위대한 천재들은 일을 적게 할 때 더 많은 것을 이뤘다”고 주장합니다.
의도적인 연습과 또 그만큼의 의도적인 휴식이 적절하게 균형이 잡힐 때
우리는 최고의 생산성을 발휘합니다.
잘 쉴 줄 아는 것이 경쟁력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하지만 이제는 안다.
10년 후 물어물어 다시
이 연주가를 찾아온다 한들
지금과 똑같은 느낌을 받지 못하리라는 것을.
행복은 하나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매번 색깔이 달라지는 카멜레온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추구하고 마침내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발견하고 매순간
경험하는 그 무엇이니까. 

- 이주은의《그림에, 마음을 놓다》중에서 -


* 행복은 소소한 일상 가운데 있습니다.
크고 화려한 이벤트가 아닌 무심히 스쳐 지나가는
바람결 같은 것입니다. 입가에 잠시 머물다 스러져가는
엷은 미소 같은 것입니다. 그런 순간을 놓치지 않고
마음에 담을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하필 나인가?  (0) 2019.11.05
사람의 만남  (0) 2019.11.04
행복한 사람 옆에 행복한 사람  (0) 2019.11.04
보랏빛 의자  (0) 2019.11.04
눈 감아도 빛나는 당신  (0) 2019.10.30
반응형

문제가 생기지 않는 인생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문제가 없어지는 것은 죽을 때다.
즉 문제가 있다는 것은 살아 있다는 증거다.
안고 있는 문제가 크면 클수록, 많으면 많을수록 진지하게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문제가 있다는 것을 기뻐하기 바란다.
- 니와 우이치로, ‘일이 인생을 단련하다.’에서 

문제가 없는 것은 정체 혹은 퇴보하고 있다는 증거일 수 있습니다.
문제가 있다는 것은 더 큰 성취와 발전의 기회가 생겼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문제를 반기고 기뻐하는 사람이 큰 성취를 차지하게 됩니다.
문제가 있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문제가 없는 것이 문제라는 생각을 가져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만약 더 높은 성취를 이룩하고 싶다면 모험을 감수해야 한다.
반대로 모험을 감수하기 싫다면 더 적은 수입,
더 작은 성공, 더 평이한 삶에 만족해야 한다.
모험을 하지 않는 한 성과도 없다.
위험을 감수하라. 거기에 과실이 있으니.
- 테리 버넘, ‘다윈이 자기계발서를 쓴다면’에서 

에베레스트산을 최초로 등반한 에드먼드 힐러리 경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러 번 죽을 것 같은 두려움에 떨었다.
하지만 두려움은 또 다른 자극제가 되었다.
우리는 가능하다고 믿는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성취를 이룰 수 있다.”
위험이 커야 성과도 큽니다.

반응형
반응형

탁월함은 일탈의 모습을 갖고 있다. 탁월함을 성취하고
그것을 유지하는 방법은 평범함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위험하고 고통이 따르는, 다른 사람들이 원하지 않는 길을
선택했기 때문에 당신은 탁월함을 성취한 것이다.
탁월함에는 고통이 수반된다.
- 로버트 퀸, ‘Deep change’에서 

“위대한 영혼들은 언제나 평범한 사람들의 격렬한 반발에 부딪혀 왔다.
평범한 사람들은 관습적 편견에 맹목적으로 굴복하기를 거부하고
용감하고 정직하게 자신의 의견을 밝히는 사람을 이해하지 못한다.”
아인슈타인의 지적입니다.
평범한 사람들이 원하는 않는 일을 할 때 비로소
탁월함의 길로 들어서게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