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튤립은 땅에 심기 전 50일간 영하 5도로
‘고통’을 줘야 구근이 꽃을 품는다.
저온에 노출시키지 않으면 꽃이 피지 않거나
 자라도 비실거리다 죽어버린다.
- 김군소, 에버랜드 식물환경연구소장

 

추운 겨울을 보낸 봄 나무들이 더 아름다운 꽃을 피우듯이,
진정한 고난과 시련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은
 크게 성장할 수 없습니다.
꿈과 목표를 가진 사람은 누구나 아플 수밖에 없습니다.
모든 고통은 큰 꿈을 가진 사람의 벗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아이디어를 잊는 것이다.
- 존 메이너드 케인즈


‘이미 터득한 것 말고 다른 것을 시도하지 않으면
절대 성장할 수 없습니다.’ (로널드 오스본)

 


‘사고를 멈추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한 가지 분야의 책만 읽고 한 가지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과만 대화하는 것입니다.’ (존 로크)

 

반응형
반응형

지금 아픈 것은 아름다워지기 위함이다.
아름다운 종소리를 더 멀리 퍼뜨리려면 종(鐘)이 더 아파야 한다.
셰익스피어가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아플 때 우는 것은 삼류이고,
아플 때 참는 것은 이류이며,
아픔을 즐기는 것이 일류 인생이라고.
- 김용태, ‘야해야 청춘’에서

 

 

씨앗은 땅속에서 썩어야만 새로운 꽃으로 다시 태어납니다.
애벌레는 고치 속 세상을 뚫고 나와야만
나비로 새로운 세상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고통의 터널을 지나가야만
명품인생으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러기에 고통은 명품 인생을 위한 필수요소로 환영받아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나는 오뚜기 인생을 살아왔다.
시련은 성장의 기회고, 행복은 성장의 대가다.
시련이 많다는 건 운이 좋은 일이다.
더 크게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시련도 또 흘러간다. 기회는 언제나 있다.
-박찬호 선수 (뉴욕 양키스 방출 직후 올린 글)

 

‘이 세상의 거의 모든 성공스토리는
문제나 장애를 똑바로 인식하고
그 문제를 기회로 바꾼
사람들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글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렇게 보면 문제나 장애는 성공스토리를 빛내주는
훌륭한, 아니 절대 필요한 소재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 뇌는 목표지향적이다.
뇌의 사령부격인 전두연합령에서 어떤 목표를 설정하면
신체의 나머지 부분은 거의 맹목적으로 이 목표를 추구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
도전이 크면 응전도 빨라진다. 몰입도가 올라간다.
결과적으로 머리가 좋아진다.
- 황농문 교수, ‘공부하는 힘’에서

 

황교수는 주장합니다.
‘계속되는 도전이 우리를 끝없이 성장시킨다고,
도전이 없으면 뇌는 발전하기 어렵다고,,,’
설정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서 우리 뇌는
그 목표에 가까워지면 쾌감이나 즐거움을 준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상대를 믿어라.
그러면 그들도 우리를 진실 되게 대할 것이다.
상대가 위대한 사람인 것처럼 대우하라.
그러면 그들 자신이 위대한 사람이라는 사실을 입증할 것이다.
- 랄프 왈도 에머슨

 

도덕경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나는 선한 사람을 선하게 대한다.
선하지 않아도 선하게 대함으로써 선을 얻는다.
나는 미더운 사람을 미덥게 대한다.
미덥지 않은 이도 미덥게 대함으로써 미더움을 얻는다.’
리더가 믿음을 줄 때 조직원들도 자신을 믿게 되고,
결국은 그런 믿음대로 성장해 나갑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