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망설임 없이 더 어려운 길을 선택했다 (0) | 2022.12.13 |
---|---|
성공이 클수록 장벽도 커진다 (0) | 2022.12.12 |
갈등이 우리를 더 똑똑하게 만들어준다 (0) | 2022.12.08 |
의사결정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0) | 2022.12.07 |
인생의 목적을 가질 때 일어나는 기적들 (0) | 2022.12.06 |
나는 망설임 없이 더 어려운 길을 선택했다 (0) | 2022.12.13 |
---|---|
성공이 클수록 장벽도 커진다 (0) | 2022.12.12 |
갈등이 우리를 더 똑똑하게 만들어준다 (0) | 2022.12.08 |
의사결정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0) | 2022.12.07 |
인생의 목적을 가질 때 일어나는 기적들 (0) | 2022.12.06 |
화가 날 때는
잠깐 행동을 멈추어야 한다.
그리고 생각을 해야 한다. 한걸음 물러서서
자기의 감정과 자신을 분리하면 분노에 사로잡힌
자신의 모습에 부끄러움을 느낀다.
그러면 스스로 자제하게 된다.
- 조윤제의《하루 한 장 고전 수업》중에서 -
* 참 어려운 것이
화를 다스리는 것입니다.
화를 참지 못하고 터뜨리는 것도,
화를 억지로 참는 것도 문제입니다.
이때 꼭 필요한 것이 잠깐멈춤입니다.
화가 날 때는 일단 멈추고 깊은 호흡을
몇 차례 하면 고비를 넘길 수 있습니다.
스스로 부끄러운 모습을 보는 일도
없게 됩니다.
삶을 풀어나갈 기회 (0) | 2022.12.12 |
---|---|
나이가 든다는 것 (0) | 2022.12.09 |
파워냅(Power Nap) (0) | 2022.12.07 |
말보다 빠른 노루가 잡히는 이유 (0) | 2022.12.06 |
적재적소의 질문 (0) | 2022.12.06 |
부정적인 생각은 높은 스트레스로 이어진다.
이 생각은 낙관성을 뭉개고 창의성을 억누른다.
뇌가 부정적인 사고로 기울어져 있을 때 우리는 기묘한 것을 놓치고 만다.
기묘함은 패턴인식의 토대이며, 더 나아가 창의성의 토대다.
창의성이 없으면 혁신도 없고, 혁신이 없으면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들 수도 없다.
- 스티븐 코틀러, ‘멘탈이 무기다’에서
감사는 뇌가 긍정적인 일에 초점을 맞추도록 훈련시켜서
기존에 부정적으로 편향된 정보 필터링 방향을 긍정적으로 바꾼다고 합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3주 동안 감사를 표현하면 뇌에서는
신경 재배선이 일어납니다.
감사는 기분에 영향을 주면서 기발함을 향상시킵니다.
감사가 창의성을 키워줍니다.
의사결정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0) | 2022.12.07 |
---|---|
인생의 목적을 가질 때 일어나는 기적들 (0) | 2022.12.06 |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0) | 2022.12.01 |
파괴하라 그리고 창조하라 (0) | 2022.11.30 |
시련을 대하는 태도가 성공과 실패를 가른다 (0) | 2022.11.29 |
사람들은
저마다 다릅니다. 따라서
그들의 생각을 편하게 나누도록 하려면
각기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결단력의 문제가 아니라 발견의
문제입니다. 적재적소의 질문을
제대로 던지는 것이
핵심이죠.
- 대니얼 코일의《최고의 팀은 무엇이 다른가》중에서 -
* 질문도 지적 훈련의 하나입니다.
그 사람의 인품, 관심사, 지적 수준이 드러납니다.
적재적소의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것도 능력입니다.
제때에 하는 뜻밖의 질문 하나로 어떤 사람의
인생이 새롭게 바뀔 수도 있습니다.
"당신의 꿈은 무엇인가요?"
파워냅(Power Nap) (0) | 2022.12.07 |
---|---|
말보다 빠른 노루가 잡히는 이유 (0) | 2022.12.06 |
가장 보기 힘든 것 (0) | 2022.12.06 |
고통을 견디는 방법 (0) | 2022.12.02 |
거리의 똥을 치우라 (0) | 2022.12.01 |
내가 가진 것을 다른 것과 연결하고,
그 연결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려면 교실이나 사무실에
앉아 있기만 해서는 안 된다. 학교 밖, 회사 밖으로 나가야 한다.
우린에겐 일상에서 벗어나 이 세상에 무엇이 있는지
보고 느끼고 체험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 이광형의《우리는 모두 각자의 별에서 빛난다》중에서 -
* 일상에서 벗어나 나의 일상을 바라보면
이전에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인다고 합니다.
그래서 미술관, 공연장을 찾고 더 큰 세상으로의 여행을
떠나는가 봅니다. 그 연결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생각을 갖게 한다고 하니 나이 50이 넘어서야
조금씩 보이고 깨닫게 됩니다.
'첫눈에 반한다' (0) | 2022.10.11 |
---|---|
곰팡이가 핀 '작은 빵 네 조각' (0) | 2022.10.11 |
그대를 만난 뒤... (0) | 2022.10.07 |
혼자 걷는 사람들 (0) | 2022.10.06 |
아름다운 풍경 하나 (0) | 2022.10.05 |
마음의 활동이 곧 생각이다.
우리가 항상 활동하는 것은 우리가 항상 생각하기
때문이다. 매 순간 우리는 사물을 끌어당기거나 밀쳐낸다.
평범한 사람들은 이 과정을 의식하지 못하겠지만, 법칙을
모른다고 해서 그 귀결을 면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맨 먼저 깨달을 사실은 모든 생각이 예외 없이
현실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지금 하는 생각이 현실을 창조할
생각인지 아닌지 무슨 수로 알겠는가?
- 어니스트 홈즈의《마음과 성공》중에서 -
*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그 유명한 함석헌 선생의 어록입니다.
달리 말하면, 생각이 없는 사람은 소멸된다는 말입니다.
생각은 생명입니다. 새로운 창조의 원천입니다.
생각이 있어야 현실을 넘어설 수 있고,
현실을 넘어서야 미래가 열립니다.
생각하는 사람이어야 삽니다.
'사육'이란 미명 아래 (0) | 2022.09.05 |
---|---|
두 눈을 도둑 맞아서 (0) | 2022.09.05 |
밤 11시22분 (0) | 2022.09.05 |
아침마다 나에게 하는 말 (0) | 2022.09.05 |
자기 자신을 존중하는 태도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