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춤을 추는 거야.

왜 춤추느냐 하는 건 생각해선 안 돼. 

의미 같은 것도 생각해선 안 돼. 

의미 같은 건 애당초 없는 거요. 

그런 걸 생각하기 시작하면 

발이 멎어. 


- 무라카미 하루키의《댄스 댄스 댄스》중에서 -


* 왜 춤을 출까요.

기뻐서 춤추고 슬퍼서 춤을 춥니다.

홀로 춤추고 함께 어울려 춤을 춥니다. 

인생은 춤에서 춤으로 이어집니다. 

이렇게 살아있으니까 춤을 추며 

춤을 추니까 삽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중한 삶의 시간들을...  (0) 2017.12.13
사랑하고 기뻐하는 능력  (0) 2017.12.12
기분 좋은 사람  (0) 2017.12.08
자연농, 사람 살리는 밥상  (0) 2017.12.07
'호기심 천국'  (0) 2017.12.06
반응형

편안한 사람이 그립습니다. 

정다운 목소리로 오랫동안 즐겁게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


서로의 생각을 존중하며 

유쾌하게 나의 마음을 전할 수 있는 사람. 

기다림이 설레고 만나면 유쾌한 사람. 


유유히 흘러가는 강물처럼

변하지 않는 자연스러움을 지닌

그 사람이 그립습니다. 



- 전승환의《나에게 고맙다》중에서 - 



* 바람이 차가워지는 초겨울입니다. 

차가운 바람을 맞으며, 초겨울의 기운을 느끼다 보면 

따뜻하고 정다운 목소리가 그리워집니다. 추운 줄 모르고

오랫동안 이야기 나누다 보면 어느새 훈훈해져 있던

아름다운 기억, 지나간 겨울을 따뜻하게 해 주었던  

당신이 더욱 그리워집니다.  

 



...


반응형
반응형

하버드 법대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30년 동안 사회적 성공,

부의 축적, 육체적 건강을 좌우하는 변수를 찾아보았다.

부모의 부, 백인, 공부 잘하기, 뛰어난 두뇌 등은 별 상관이 없었다.

유일하게 관련이 있었던 변인은 낙관성이었다.

세상을 얼마나 낙관적으로 보는가가 그 사람의 성공을 결정했다.

- 채정호 교수, ‘옵티미스트’에서


사람은 하루에 오만가지 생각을 합니다.

낙관, 도전, 호기심, 배려와 같은 긍정적 감정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사회적 성공, 부의 축적,

건강, 인간관계 등도 점차적으로 개선됩니다.

생각이 나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리더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모든 잘못이 자기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다.

문제가 자신에게 있다고 판단하는 순간

우리는 자신을 돌아보고 우리가 챙겨야할 직원들을 돌아보고

내부의 상황을 좀 더 면밀히 관찰해 내공을 다질 수 있다.

책임을 외부로 돌릴 때보다 훨씬 더 주도면밀한 관리가 가능해진다.

- 곤도 노부유키 일본레이저 사장 ‘곤도의 결심’에서 


남 탓을 하는 순간 상황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따라서 더 이상의 발전은 불가합니다.

직원에게 책임을 추궁하기 시작하면

새로운 도전을 회피하게 됩니다.

책임을 져주는 것만으로도 리더십의 대부분이 완성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나는 내 아이가 

부모한테만은 무슨 말을 해도 

괜찮다고 생각하며 자라기를 원했다. 

무슨 잘못을 저질러도 부모는 자기를 이해한다고 

믿으며 자라기를 원했다. 속이 상해도, 화가 나거나 

슬퍼도 부모한테만은 말할 수 있고, 어떤 실패를 

하더라도 우리에게만은 전혀 숨길 필요가 

없는 아이로 키우고 싶었다. 



-  김연교의《아이 마음을 읽는 시간》중에서 - 



* 꿈같은 '희망사항'입니다.

그러나 반드시 실현되어야 할 이야기입니다.

아이는 부모에게 숨김없이 마음을 열고, 

부모는 아이의 열린 마음을 바다처럼

모두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합니다.

아이를 부모의 품안에서 

거침없이 키우는 것이 

참교육입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때가 되면 떠나보내야 한다  (0) 2017.10.17
꽃도 침묵으로 말한다  (0) 2017.10.13
박자와 강약, 쉼표와 리듬  (0) 2017.10.11
핀란드의 숲 속 별장, '코티지'  (0) 2017.10.10
한글의 신비  (0) 2017.10.10
반응형

스스로에게 “넌 틀렸어, 이제 끝났어.”라고 말하고 자괴감을 가지면,

자신이 가진 능력을 30%도 채 발휘할 수 없다.

그러나 반대로 “넌 할 수 있어. 넌 특별한 사람이야.”라고 말하며

스스로에게 자신감을 심어줄 때 자신이 가진 능력의

한계를 뛰어넘어 무려 500%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 영국 심리학자 J. 하드필드 박사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될 때까지 노력하게 됩니다.

당연히 결과도 좋게 됩니다.

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미리 포기하고

노력도 하지 않습니다.

생각이 결과를 만듭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