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출처] http://mooki83.tistory.com/2656530 에서 온전히 펌

루씬 (Lucene) -  http://lucene.apache.org/ 
JAVA 기반 색인과 검색 기술

솔라 (Solr) - http://lucene.apache.org/solr/ 
루씬 코어로 구성된 검색 서버
(with XML/HTTP and JSON/Python/Ruby APIs, ...)

패스트캣 -  http://www.getfastcat.org/ 
국내 오픈소스 검색엔진

$2
루씬 한글분석기 오픈소스 프로젝트

검색이야기 with Lucene, solr
http://zeous.egloos.com/1412280

Solr : Lucene을 더 쉽고, 확장성 높게 사용하자!
Solr
[SOLR] SOlR 1.2 Windows 설치기 - 한글 셋팅 포함
Apache Solr 3.5.0 셋팅하기(db dataimport), Lucene, 한글형태소분석기
Lucene + Solr 연동한 한글검색 세팅하기
Solr 톰캣 연동 세팅 방법
[pylucene] Python용 lucene검색엔진에 한글형태소 분석기 lucenekorean 붙이기
Lucene 공개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개발 시작의 변
루씬, 톰켓, 이클립스 삽질기
루씬 설치 방법.
쿠폰모아에 검색엔진 ‘실제로’ 적용하기 Part.1
Sunspot과 Lucene을 이용한 풀 텍스트 검색엔진 구축하기
--
[패스트캣]1. 시작하기
반응형
반응형
jQuery에서 어떤게 먼제 실행되는지에 대해서 궁금한데.

$(document).ready 는 DOM 이 준비가 되면 바로 실행을 한다.

$(window).load 는 페이지 내의 모든 데이터(요소)가 다 준비가 되어야 실행한다.

그 차이를 알아채기는 쉽지 않겠지만. 그렇다고 한다.

그런데, 실제 경험상 그 차이는 크게 느낄수 없었다.

이 둘의 차이를 따지게 되는 상황에서 중요한 점은 페이지가 얼마나 빨리 Load 되느냐지
실행이 어느순간에 되는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론에 대한 얘기이며, 실기에선 고려되지 않았었다는 사설.

그래도, $(document).ready를 쓰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맞는거 같다.
이미지로 뭔가를 하려는게 아니라면.
이미지 요소로 뭔가를 하려 한다면, $(window).load 를 써야하지 않을까?
반응형

'프로그래밍 >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Navigator  (0) 2012.04.30
node.js 외 js 관련  (0) 2012.03.26
HTML5 Web Workers  (0) 2012.02.21
20+ Must See Fresh and Useful jQuery Plugins from 2011  (0) 2011.12.09
5 Awesome Responsive jQuery Sliders and Image Galleries  (0) 2011.12.09
반응형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다운받으려는데, 회원가입 필요해.

파이어폭스에서 실명인증도 안되는데, 표준 프레임워크인가? 내가 잘못인가?

http://www.egovframe.go.kr/
www.egovframe.go.kr
반응형
반응형
자바스크립트 차트

http://www.humblesoftware.com/flotr2/index


http://www.humblesoftware.com/flotr2/
반응형
반응형
$2
웹 클라이언트의 명시적인 요청이 없어도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밀어넣는 (Push) 방식으로 동작하는 웹 프로그래밍 모델을 일컫는 말.

$2
http://ohgyun.com/231

$2
http://corund.net/blog/entry/Comet%EC%97%90-%EB%8C%80%ED%95%98%EC%97%AC 
(Jetty, Tomcat, Resin)

$2
$2
$2
$2
$2
$2
$2
반응형

'프로그래밍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우저의 User-Agent를 바로 확인하고 싶다면~  (0) 2012.03.26
자바스크립트 차트  (0) 2012.03.05
Manifest File 생성하기  (0) 2012.03.02
REST , RESTful  (0) 2011.12.09
[크롬] 모바일 사이즈로 확인해보기  (0) 2011.12.07
반응형

http://www.html5rocks.com/en/search?q=cache+manifest

manifest 파일은 어플리케이션 캐시에 다운로드 되고 저장되어 질 HTML, JavaScript, CSS, 이미지 파일들과 같은 리소스들을 기술한다. 웹 페이지가 첫 번째로 로딩이 된 후 부터 , manifest 파일에 기술되어진 리소스 파일들은 웹 서버가 아닌 application cache에서 획득되어 진다.

manifest 파일은 다음과 같은 속성들을 가지고 있다:

  • MIME-Type이 text/cache-manifest와 같이 제공되어야 한다.
  • 첫 번째 줄에는 CACHE MANIFEST라는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 그 다음 줄들은 캐시할 각각의 리소스의 URL이나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 주석문들은 # 문자로 시작하고 한 줄로 와야한다.
  • URL들은 로컬에 캐시로 다운로드를 원하는 리소스에 대한 파일 경로이다. 파일 경로는 manifest 파일에 대한 상대,절대경로로 표현되어야 한다 —CSS에서 사용되는 파일 경로와 유사
  • manifest 는 반드시 온라인일 시에 접근해야 하는 모든 외부 리소스들에 상응하는 접두어를 포함하고 있는 whitelist를 선언하야 한다. 이 whitelist는 그 자신이 한 줄을 구성하는 NETWORK:라는 식별자와 함께 시작한다.
    또한 network 엔트리 뒤에 그 자신이 한 줄을 구성하는 CACHE:라는 식별자를 삽입함으로써 추가적인 cache 엔트리를 선언할 수 있다.

    만 약 원한다면 manifest는 fallback 섹션들을 둘 수 있다. 이 섹션들은 FALLBACK: 이라는 식별자와 시작할 수 있고, 두 개의 URI들을 포함하고 있는 연속되는 타이들을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 URI는 브라우져가 첫 번째 URI에 접근하지 못할 때 사용한다. URI들은 반드시 둘 다 manifest 그 자신과 같은 origin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두 개의 URI 모두 부분적인 경로(partial URIs)만 포함한다.(prefixes);
    예를 들어 아래 예제는 만약 /files/projects 가 찾아지지 않는다면, 클라이언트는 다시 /files/projects/를 /projects로 대체해서 찾는다

FALLBACK:

/files/projects /projects

  • "Manifest 파일 선언하기"에 설명 되어진 대로, manifest파일을 선언한 HTML 파일은 자동적으로 application cache에 포함되게 된다. 당신은 그것을 manifest 파일에 추가할 필요가 없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차트  (0) 2012.03.05
Comet 이란  (0) 2012.03.02
REST , RESTful  (0) 2011.12.09
[크롬] 모바일 사이즈로 확인해보기  (0) 2011.12.07
크롬에서 json데이터 볼때 설치하시오~ 어디? 크롬에다가~  (0) 2011.11.30

+ Recent posts